- 1 -
제
회 제주
평화문학상 심사평
13
4·3
심사 구분
본심
심사 장르
논픽션
응모작품은 모두 일곱 편인데 최종심에 오른 두 작품은 제주
과 국가폭력을 주축
4 3
으로 하고 있다.
아버지의 눈물 은
과
전쟁으로 야기된 가족의 비극과 대에 걸친 트라우마
4 3
6 25
3
「
」
가 핵심 화두이다 전교조 조합원인 이유로 교사에서 해직된 이력이 있는 나 가
.
‘ ’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아버지는 대정중학교 시절 이승진 김달삼
교사 수업도 받았
.
(
)
는데
년
기념행사 이후 입산한다 이 무렵 큰외삼촌은 외할아버지 댁에 살
1947
3 1
.
던 청년의 밀고로 경찰에 연행돼 고문 후유증으로 급사하고 둘째 외삼촌은 내란죄
,
누명으로 인천형무소에 수감된 후
때 행방불명된다 아버지는 산에서 내려와 부
6 25
.
산으로 도피했다가 전쟁이 나자 해병대에 자원입대해 인천상륙작전에도 참전 상이
,
군인으로 제대했다
나 는 아버지의 트라우마가 어머니 오빠 자신에게 전이됐다고
. ‘ ’
,
,
믿는다 그리고 압록강 연안의 혜산 출신인 시아버지는 한국전쟁 때 부산으로 피란
.
했다 과거 기억의 추적과 밀도 있는 통찰력 처절한
과 가족의 시간 이 독자
.
,
‘4 3
’
마음을 사로잡았다 구성이 산만한 게 결정적인 흠이었다 외가와 친정 가족 이야기
.
.
에 사족이 많고
나 의 신변 화제도 너무 장황했다 그로 인해 한국 현대사의 단면
, ‘ ’
.
을 부각하는 역사 속 인물이 가려져 울림을 반감시켰다.
당선작 폭풍 속으로 는 구좌면 현 구좌읍 지역 중심의
르포이다 화자인 기자
(
)
4 3
.
「
」
가 채진규 가명 와 주변 인물 사건을 추적하며 기억 기록을 날줄과 씨줄로 엮은
(
)
,
,
서사이다
여 년 동안 도내는 물론 육지 미국과 일본 등지를 드나들며
자료
. 30
,
4 3
를 축적해온 사실도 곁들여 있다 이야기는
년 월 다랑쉬굴 사건의 비밀을 간
.
2012
2
직한 채진규와 인연을 맺으면서 확장된다 채 씨의 고향은
년
사건
여파
.
1947
‘6 6
’
로 참극의 후폭풍에 빠진 구좌면 종달리다 그는 해방 뒤 일본에서 귀국 고향에서
.
,
교사 겸 야학 강사로 활동하다가 무장대에 의해 강제 입산한다 채 씨는 입산한 지
.
개월이 지나 귀순 구사일생한다 채진규와 함께 활동했던 구좌면당부 이명복이 위
6
,
.
기에서 탈출해 일본으로 밀항하는 과정 구좌면당부의 조직과 활동도 매우 소중한
,
역사 기록이다 현재 과거의 시공 이동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생동감과 박진
.
-
감이 있다 시공의 층위가 방대한데도 구성이 탄탄했다 특히 초기
주체들의 문
.
.
4 3
제의식과 초토화 작전 이후의 국가폭력 문제를 연결하려는 노력이 인상적이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다른 응모자들에게는 위로와 재도전의 용기를 잃지 마시라는
,
격려 말씀을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