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24년도(23년 실적)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총괄보고서(제주4.3평화재단)(1).pdf

닫기

background image

2024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제주4‧3평화재단  평가결과  보고서)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4년(‘23 실적)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결과보고서

CONTENTS

Ⅰ. 경영평가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평가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기관 일반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경영평가 추진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Ⅱ. 경영평가 총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경영평가 종합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 영역별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3. 기관별 주요 이슈 및 세부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Ⅲ. 기관별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1. 제주4‧3평화재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JE

JU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4년(′23  실적)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총괄보고서

제1장

경영평가  개요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  -

1

  경영평가  개요

1-1  경영평가 추진근거

1)  경영평가  추진에  대한  법적  근거

■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28조(경영실적의 평가) 

◯ 출자‧출연기관에 대한 경영평가는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

28조(경영실적의 평가)에 따라 평가 대상기관을 선정, 해당기관에 대한 경영실적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함

■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조례」 제8조(경영실적 평가 등)

◯ 도지사는 출자‧출연기관에 대한 경영실적 평가‧진단의 기본방향, 평가‧진단 방법 및 결과 

활용 등을 포함한 경영실적‧진단 평가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경영평가  추진  목적

◯ 경영평가의 목적은 “①책임경영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경영혁신을 유도하고 ②평가결과에 

대한 환류체계를 강화하여 분야별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을 추진함으로써 기관역량 강화 
및 경영합리화를 실현하며 ③다음연도 평가지표를 사전에 구축함으로써 출자·출연기관의 
미래지향적 비전을 제시하고 경영개선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기관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에 있음

◯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통해 운영되므로 사후 통제를 

통한 경영성과에 대한 점검을 시행할 필요가 있고,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책임경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영 효율성을 증대
시키도록 함

1-2  경영평가 기대효과

◯ 경영성과 평가를 통해 효율성과 책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출자‧출연기관의 업무개선 및 

발전에 기여함

◯ 명확한 목표설정을 통하여 기관의 핵심역량 분야에 자원(resource)을 집중할 수 있는 관리체

계를 구축하고, 자치단체, 노동조합, 경영자, 기타 이해관계자로 하여금 해당 기관의 역할
(mission and role)에 대한 기대수준을 조정함

◯ 경영평가를 통하여 출자·출연기관의 핵심역량분야에 자원을 집중할 수 있는 체계 구축 

및 경영혁신 유도를 통한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  -

1-3  평가제도 운영방향

■ 평가대상 및 평가기간

◯ 평가대상 : 11개 출자‧출연기관(출자기관 1개, 출연기관 10개)

구 분

기관 경영평가 (11개기관)

설립연도

출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1997

출연

제주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

1996

제주연구원

1997

제주문화예술재단

2000

제주신용보증재단

2003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4

제주한의약연구원

2015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2018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2018

제주4·3평화재단

2008

제주사회서비스원

2021

◯ 평가방법 : 경영평가단 구성 및 운영에 따른 평가

- 2024년(′23년 실적)에 대한 기관의 경영목표 달성도 등 경영전반 및 CEO 기관장 성과 이행실적

◯ 평가기간 : 2024. 3월 ~ 10월

■ 경영평가 지표구성

2024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편람 개선 방향

Ÿ 민선8기 도 정책사항 반영으로 기관 운영 성과 창출에 따른 제주특별자치도 상생 발전 유도
  - ‘경영평가-지방출지출연기관 운영-지역발전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혁신성과 평가 운영
  - 기관장 평가 편람 일몰 및 기관장 직무성과계약서 중심 평가체계로 전환
  -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지표 신설
Ÿ 공공성 및 효율성의 균형적 평가 기반 구축을 위한 2분류(경영관리-경영성과) 체계로의 전환
Ÿ 공공기관 정책 추진사항 반영으로 기관의 책임성 강화
  - 직무중심 인사관리 추진 및 정보보안 관련 지표 신설
  - 선제적으로 반영된 ESG, 적극행정, 재무건전성 강화 지표 지속 유지
Ÿ 정부부처 평가 수검기관(TP, 의료원) 평가결과 환산으로 기관별 평가 결과 편차 완화, 유불리 해소
Ÿ COVID19지표 일몰에서 나아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회복 노력에 대한 중점적 평가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지표

배점

1. 경영관리(8.00점)

리더십
(2.00점)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

1.00점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1.00점

<감점>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최대 –5.00점

경영시스템
(6.00점)

자체수입률

1.00점

사업수행효율성

1.00점

일반관리비 충당률

1.00점

재정집행률

1.00점

총인건비 인상률 준수

1.00점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

1.00점

사회적 책임

<감점> 비위 발생 여부

누적감점

2. 경영성과(2.00점)

고객만족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2.00점

합계

1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  -

2

  기관  일반현황

2-6  제주4‧3평화재단

기 관 명

 재단법인 제주4·3평화재단

주    소   제주시 명림로 430

설립근거

 법  률 : 4‧3특별법 제8조의2(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출연근거),
          민법 제32조
 조  례 : 제주4·3평화재단 설립 및 출연 등에 관한 조례

전화번호 : 064-723-4301

홈페이지 : www.jeju43peace.or.kr

주요연혁

- 2008.10.16 : 제주4‧3평화재단 설립
- 2009.07.01 : 4‧3희생자 및 유족 진료비지원 시행
- 2010.09.15 : 기관지 「4‧3과 평화」 창간
- 2011.03.26 : 4‧3희생자 발굴유해 봉안식

- 2011.12.08 : 제1회 제주4‧3평화포럼 개최
- 2012.01.09 : 제1회 전국교원4·3직무연수 개강
- 2012.05.17 :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네트워크

               협약체결(국내5‧국외4개 기관)

- 2013.08.01 :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 영문번역판 발간
- 2014.04.03 : 제66주년 4‧3희생자추념식 재단 주관 봉행  
- 2015.01.15 : 제주4‧3평화공원 관리운영 업무 위탁
- 2015.04.01 : 제1회 제주4‧3평화상 시상
- 2018.10.10 :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 신설
- 2019.06.20 : 제주4‧3 UN인권 심포지엄 개최
- 2020.05.06 : 4‧3트라우마센터 개소
- 2021.12.30 : 4‧3창작오페라 <순이삼촌> 경기 공연
- 2022.12.08 : 워싱턴 4‧3인권 심포지엄 개최

관계기관

제주특별자치도

(4·3지원과),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인원현황

(‘23.12.31.)

구분

정규직

파견직

비정규직

임원(상근)

직원

무기계약

(공무직)

무기계약 기간제

기타

정원

33

-

23

10

1

-

-

-

현원

34

-

24

10

1

-

23

-

임원현황

(기관장 및 

상근임원)

(‘23.12.31.)

직  책

성  명

주요경력

임 기

이사장

고희범

전)4·3연구소 이사장
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장

2022.01.17.~2024.01.16.

주요기능

- 4·3평화공원 및 4·3평화기념관 운영

- 4·3추모 및 유족복지 사업

- 4·3추가진상조사 

- 4·3문화학술사업

- 국내외평화교류사업

- 4‧3트라우마센터 운영 등

기본재산

(단위:백만원)

기본재산

설립당시 기본재산

증감 기본재산

자치단체

출연 기본재산 

소계

지자체 중앙부처

기타

소계

지자체 중앙부처 기타

3,782

300

300

-

-

3,482

933

2,231

318

1,233

(32.60%)

수 입 액

(단위:백만원)

수입액(a)

자치단체 지원금(b)

자치단체 

지원금(비율,b/a)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35,050

11,106

11,564

12,380

18,659

5,928

6,064

6,667

53.24$

예산현황

(단위:백만원)

2021

2022

2023

11,119

11,163

12,330

재무현황

(‘23.12.31.)

(단위:백만원)

자산

부채

자본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6,436

792

5,644

445

282

163

5,992

경영성과

(‘22.12.31.)

(단위:백만원)

총수익

총비용

당기순이익

 계 : 10,927

 계 : 10,821

108

·영업수익 : 9,618
·영업외 수익 : 1,310

·사업비용 : 9,434
·사업외비용 : 1,3877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  -

3

  경영평가  추진경과

◯ 2024년도(2023년 실적)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시행계획을 수립, 통보를 

시작으로 6월까지 평가를(서면, 현장실사) 마무리하였고, 9월 운영심의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하여 경영평가 결과 점수, 등급을 확정함 

제주특별자치도

2024년  출자‧출연기관  등  경영평가  실시계획 
수립  및  통보

2024.  2월

경영평가단  구성  및  현지평가  일정  수립

2024.  2월

「2024년(23년  실적)  경영평가  지표설명회」개최 
※  지표설명,  경영실적보고서  작성요령  등 

2024.  3월

출자‧출연기관

경영실적보고서  제출
  ※  인건비  점검자료,  지표별  체크리스트  등

2024.  3월

경영평가단

경영평가단  평가위원  설명회  실시

2024.  3월

제주특별자치도

(경영평가단)

경영평가  실시 
  ※  서면평가  →  현지실사평가  →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2024.  6월

이의신청
  ※  경평보고서  초안송부  →  이의신청
        →  이의신청  검토 

2024. 

7월~8월

경영평가보고서  작성

2024.  8월

제주특별자치도

(운영심의회)

경영평가  결과  등급  심의·의결  및  발표

2024.  9월

제주특별자치도

경영평가  결과  알림

2024.  10월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4년(′23  실적)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총괄보고서

제2장

경영평가  총평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  -

1

  경영평가  종합결과

1-1  기관 평가결과

1)  전체  등급분포

■ 등급별 기관분포

◯ 2024년(2023년 실적) 경영평가 결과, 제주특별자치도 11개 출자‧출연기관 중 가등급(90점 

이상) 2개 기관, 나등급(85점 이상 ~ 90점 미만) 2개 기관, 다등급(80점 이상 ~85점 미만) 

5개 기관, 라등급(75점 이상~80점 미만) 1개 기관, 마등급(75점 미만)은 1개 기관으로 확정됨

등급

점수 구간

기관명

기관 수

비율

가등급

90점 이상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연구원

2개 기관

18.18%

나등급

85점 이상~90점 미만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2개 기관

18.18%

다등급

80점 이상~85점 미만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4‧3평화재단

5개 기관

45.45%

라등급

75점 이상~80점 미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1개 기관

9.09%

마등급

75점 미만

제주사회서비스원

1개 기관

9.09%

■ 등급별 누적분포

◯ 등급별 기관의 분포는 가등급 18.18%, 나등급 18.18%, 다등급 45.45%, 라등급 9.09%, 마등급 

9.09%로 나타남

◯ 중위(median) 등급인 다등급을 기준으로 나등급 이상 상위 등급을 받은 기관은 4개 기관

(36.36%), 다등급 이하 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은 7개 기관(63.64%)으로 나타남

등급

빈도

등급 비율

누적 비율

가등급

2개 기관

18.18%

18.18%

나등급

2개 기관

18.18%

36.36%

다등급

5개 기관

45.45%

81.82%

라등급

1개 기관

9.09%

90.91%

마등급

1개 기관

9.09%

100.00%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0  -

2)  기관별  평가등급

◯ 11개 출자‧출연기관 평균 평가 점수는 82.58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대비 가장 우수한 기관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연구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4개 기관임

◯ 평균 대비 점수가 낮게 도출된 기관은 제주4‧3평화재단,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사회서

비스원 3개 기관임

◯ 평가 결과에 따른 등급을 살펴보면 가등급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연구원 2개 기관, 

나등급은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2개 기관, 다등급은 제주영상문화산업진

흥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4‧3평화재단 5

개 기관, 라등급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1개 기관, 마등급은 제주사회서비스원 1개 기관임

기관명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가치

사업성과

평가점수

평가등급

리더십

경영

시스템

11.00점

29.00점

14.00점

46.00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9.05점

23.56점

8.33점

34.14점

75.08점

라등급

제주경제통상진흥원

9.30점

23.39점

10.13점

42.03점

84.85점

다등급

제주연구원

8.83점

26.09점

11.05점

44.55점

90.52점

가등급

제주문화예술재단

9.43점

25.22점

11.46점

44.90점

91.01점

가등급

제주신용보증재단

7.23점

22.82점

11.95점

42.61점

84.61점

다등급

제주4‧3평화재단

9.45점

25.16점

8.05점

39.34점

82.00점

다등급

제주여성가족연구원

7.71점

24.69점

11.72점

44.08점

88.20점

나등급

제주한의약연구원

8.50점

24.31점

11.17점

43.74점

87.72점

나등급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9.00점

22.91점

8.71점

44.28점

84.90점

다등급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6.85점

21.76점

10.88점

44.47점

83.96점

다등급

제주사회서비스원

5.60점

20.08점

△7.49점

37.34점

55.53점

마등급

평균

8.27점

23.64점

8.72점

41.95점

82.58점

-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1  -

1-2  전년 대비 평가결과

■ 전년 대비 평가 비교 결과

구분

2024년(′23년 실적) 

평가점수

평가
등급

2023년(′22년 실적) 

평가점수

평가
등급

증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75.08점

라등급

64.84점

마등급 10.24점 상승

제주경제통상진흥원

84.85점

다등급

86.79점

나등급

1.94점 하락

제주연구원

90.52점

가등급

75.79점

라등급 14.73점 상승

제주문화예술재단

91.01점

가등급

73.17점

마등급 17.84점 상승

제주신용보증재단

84.61점

다등급

90.99점

가등급

6.38점 하락

제주4‧3평화재단

82.00점

다등급

83.67점

다등급

1.67점 하락

제주여성가족연구원

88.20점

나등급

89.06점

나등급

0.86점 하락

제주한의약연구원

87.72점

나등급

88.16점

나등급

0.44점 하락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84.90점

다등급

84.54점

다등급

0.36점 상승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83.96점

다등급

84.07점

다등급

0.11점 하락

제주사회서비스원

55.53점

마등급

77.85점

라등급 22.32점 하락

평균

82.58점

-

81.72점

-

0.86점 상승

■ 3개 기관 전년대비 평가결과 향상 요인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75.08점(라등급), 전년 대비 10.24점 상승(전년도 64.84점)

- 총인건비 및 경영평가성과급의 전년도 위배액 해소, 금년 기준 준수로 패널티 요인의 해

소가 이루어짐. 연접 서비스(임대, 식음료, 대행사업 등)를 통한 수익창출 노력으로 계량 

달성률의 향상이 나타났으나, 핵심 MICE 사업의 수익성 개선 회복이 더딘 상황으로 타 

출연기관 대비 낮은 사업 창출 성과를 보임

◯ 제주연구원 : 90.52점(가등급), 전년 대비 14.73점 향상(전년도 75.79점)

- 경영평가 지적사항 이행률이 전년도 45.45%에서 91.67%로 46.22%p 상승하는 등 전년대비 높은 

개선 노력이 돋보였으며(조직개편, 임금체계 개선 등), 전국 도 단위 최초 통계데이터 센터 유치

와 함께 연구보고서의 활용도 측면이 크게 향상(83.68% → 94.56%)되고 핵심과제 달성률을 100% 

기록하며 전년 대비 평가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14.73점)됨

◯ 제주문화예술재단 : 91.01점(가등급), 전년 대비 17.84점 향상(전년도 73.17점)

- 과거 지속된 경영 침체기를 전환하기 위해 전사 차원의 노력에 따른 안정화가 이루어졌으며, 전

년도 비위발생에 따른 감점 요인 해소(전년도 –8.60점 감점), 조직구조 개편, 이직률 관리, 중장기 

재정계획에 따른 사업점검 등 경영시스템 분야 전반에서 개선 노력이 돋보임. 또한, 전반적인 

사업성과 실적 향상으로 핵심과제 달성률 100%를 달성하며 전년 대비 큰 폭으로의 향상(17.84

점)이 이루어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2  -

■ 2개 기관 전년대비 평가결과 저하 요인

◯ 제주신용보증재단 : 84.61점(다등급), 전년 대비 6.38점 하락(전년도 90.99점)

- 도와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직제 개편, 절대적으로 저조한 내부만족도, 경직된 조직

문화 등 경영관리 상 이슈가 도출됨. 사업운영 측면에서도 경제악화 등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증가에 대응하여 전략을 재설정하는 등 일부 대처 노력은 있었으나, 구체적

인 대안 마련의 미흡(전국 평균 사고발생롤 5.3% 이하의 리스크 관리 필요) 등의 요인으로 

전년 대비 하락(-6.38점)이 발생함

◯ 제주사회서비스원 : 55.53점(마등급), 전년 대비 22.32점 하락(전년도 77.85점)

- 구성원의 혁신의지 부족으로 도내 출자출연기관 중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률이 가장 

저조(20%)한 상황으로 경영 개선 노력이 부재한 상황이며, 채용비위 등 비위 발생으로 

인한 추가 17.50점의 감점이 발생함. 또한, 기관 사업 운영의 특성상 많은 수탁기관의 운

영을 추진하여야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위수탁 사업의 통합운영(예결산, 회계, 성과관리 

등 인사제도)을 위한 관리감독 기능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전년 대비 큰 폭의 하락

(-22.32점)이 발생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3  -

2

  영역별  평가결과

2-1  경영관리(리더십)

■ 리더십의 평균 점수 : 8.27점(배점 11.00점)

출자‧출연기관 평균점수

기관명

평균점수 8.27점

평균 이상 기관 : 7개 기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4‧3평화재단, 

제주한의약연구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평균 이하 기관 : 4개 기관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 리더십 영역의 평균점수는 8.27점이며, 평균점수 이상을 획득한 기관은 제주국제컨벤션

센터,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4‧3평화재단, 제주한
의약연구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7개 기관임

◯ 리더십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 이하를 획득한 기관은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

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4개 기관임

■ 리더십 영역 세부지표 평가결과

◯ 리더십 영역은 경영층의 리더십(4.00점), 전략경영(4.00점),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

실적(2.00점),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1.00점), 기타 감점(이사회 운영기준 준수)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11개 출자‧출연기관 리더십 영역 평가결과, 우수 기관은 제주4‧3평화재단(9.45점), 실적이 

가장 저조한 기관은 제주사회서비스원(5.60점)으로 나타남

- 제주4‧3평화재단 :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해 주요사업 모니터링 점검 계획을 타임테이블 형태

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수시로 사업추진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리더십 개선 노력이 돋보임. 비전목표 수립 시 직원회의 및 이사회 보고를 통해 의견수렴을 

하였고, 설립된 비전목표는 평가년도 시무식을 통해 이사장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공표하는 

방법으로 공유함. 개인역량평가와 업적평가를 시행하는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였고, 직무중심

인사관리 도입, 타 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한 주기적인 문화 교류를 통해 4·3에 대한 공감대 

확산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적극행정을 추진하고자 노력함

- 제주사회서비스원 : 기관 미래상(비전) 달성을 위한 경영목표가 부재하며 정량화된 경영목표 

미도출로 미래상 달성을 위한 실행력 고취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 ESG경영체계는 부재하

며, ESG활동은 있으나 성과지표 도출 및 목표 수립 활동은 부족함. 경영목표/전략과제와 연계

한 성과지표 도출 및 연계활동이 필요함. 경영평가 개선사항 이행 노력이 매우 저조(이행률 

20.00%)하며 기관 혁신과 경영관리 개선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전반적인 의욕이 부진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4  -

기관명

리더십

평가점수

경영층의 

리더십

전략경영

경영평가
지적사항
이행실적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기타 감점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4.00점)

(4.00점)

(2.00점)

(1.00점)

(최대 

5.00점)

(11.00점

+감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3.40점

3.40점

1.40점

0.85점

0.00점

9.05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2.90점

3.40점

2.00점

1.00점

0.00점

9.30점

제주연구원

3.00점

3.00점

1.83점

1.00점

0.00점

8.83점

제주문화예술재단

3.40점

3.20점

2.00점

0.83점

0.00점

9.43점

제주신용보증재단

2.60점

2.20점

1.43점

1.00점

0.00점

7.23점

제주4‧3평화재단

3.30점

3.40점

1.75점

1.00점

0.00점

9.45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3.00점

3.40점

1.43점

총점환산*

-1.00점

7.71점

제주한의약연구원

3.00점

3.00점

1.50점

1.00점

0.00점

8.50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3.00점

3.00점

2.00점

1.00점

0.00점

9.00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2.40점

2.20점

1.78점

0.67점

-0.20점

6.85점

제주사회서비스원

2.60점

2.40점

0.40점

1.00점

-0.80점

5.60점

평균

2.96점

2.96점

1.59점

0.93점

-0.18점

8.27점

※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해당사항이 없어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은 총점환산하여 평가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5  -

2-2  경영관리(경영시스템)

■ 경영시스템의 평균 점수 : 23.64점(배점 29.00점)

출자‧출연기관 평균점수

기관명

평균점수 23.64점

평균 이상 기관 : 5개 기관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4‧3평화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평균 이하 기관 : 6개 기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 경영시스템 영역의 평균점수는 23.64점이며, 평균점수 이상을 획득한 기관은 제주연구원, 제

주문화예술재단, 제주4‧3평화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5개 기관임

◯ 경영시스템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 이하를 획득한 기관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경제

통상진흥원,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6개 기관임

■ 경영시스템 영역 세부지표 평가결과

◯ 경영시스템 영역은 조직인사관리(11.00점), 재무 및 예산관리(15.00점), 홍보 및 정보관리

(3.00점)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11개 출자‧출연기관 경영시스템 영역 평가결과, 우수 기관은 제주연구원(26.09점), 실적이 

가장 저조한 기관은 제주사회서비스원(20.08점)으로 나타남

- 제주연구원 : 24년도 3월 조직개편에 따라 관리직 비중 위배사항을 해소(23.91% → 17.39%)하

였으며, 전년도 지적된 팀장급이상의 시간외수당및 직책수당 중복 지급 사항의 개선이 이루

어짐. 또한, 전년도 성과급 기준재원 산출 오류에 따른 성과급 위배액 34,482,625원의 차감 

반영이 이루어졌으며, 이해도 제고를 통해 금년도 성과급이 지급가능 총액 기준을 준수하여 

지급하였음

- 제주사회서비스원 : 조직 규모(16명) 대비 과도한 수직적 계층 및 팀 분화로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관리직 비율 기준을 위배함. 조직 정원에 적합한 조직 편제 재검토로 업무 성과 창출 

방안이 필요함. 연봉제 운영기관으로 총액인건비 인상은 준수하였으나, 자연증가분 인상률을 

1.45%로 관리함에 따라 자연증가분 인상률 기준(1.4%)을 초과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6  -

기관명

경영시스템

평가점수

조직인사

관리

재무  및 

예산관리

홍보 및 정보관리

(11.00점)

(15.00점)

(3.00점)

(29.00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8.41점

12.45점

2.70점

23.56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9.51점

11.64점

2.24점

23.39점

제주연구원

9.51점

13.88점

2.70점

26.09점

제주문화예술재단

9.96점

12.36점

2.90점

25.22점

제주신용보증재단

7.16점

12.96점

2.70점

22.82점

제주4‧3평화재단

9.96점

12.69점

2.51점

25.16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9.56점

12.57점

2.56점

24.69점

제주한의약연구원

9.61점

11.80점

2.90점

24.31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8.61점

11.80점

2.50점

22.91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7.71점

11.55점

2.50점

21.76점

제주사회서비스원

7.26점

10.23점

2.59점

20.08점

평균

8.84점

12.18점

2.62점

23.64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7  -

2-3  경영관리(사회적 가치)

■ 사회적 가치의 평균 점수 : 8.72점(배점 14.00점)

출자‧출연기관 평균점수

기관명

평균점수 8.72점

평균 이상 기관 : 7개 기관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평균 이하 기관 : 4개 기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4‧3평화재단,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 사회적 가치 영역의 평균점수는 8.72점이며, 평균점수 이상을 획득한 기관은 제주경제통상

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
한의약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7개 기관임

◯ 사회적 가치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 이하를 획득한 기관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4‧3

평화재단,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사회서비스원 4개 기관임

■ 사회적 가치 영역 세부지표 평가결과

◯ 사회적 가치 영역은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4.00점), 윤리경영(2.00점), 인권경영(2.00점), 재난

안전관리(2.00점), 지역상생발전(3.00점), 친환경 경영(0.30점),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
(0.40점), 정보보안 관리‧운영의 적정성(0.30점)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11개 출자‧출연기관 사회적 가치 영역 평가결과, 우수 기관은 제주신용보증재단(11.95점), 

실적이 가장 저조한 기관은 제주사회서비스원(△7.49점)으로 나타남

- 제주신용보증재단 : ISO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내부의 부패방지 역량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점검하고, 안전관리 역량을 갖추고자 노력함. 지역

사회공헌활동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 경쟁력 강화, 지역 상생 발전에 

대한 전략과제와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함. 특히 연도별 주요내용에 대한 분석과 향후 개선과제 

도출 노력이 돋보이며, 사회적 약자 지원을 위해 재단의 특화영역과 연계된 경제·금융교육 

재능기부를 진행한 성과가 있음

- 제주사회서비스원 : 기관은 채용비리 처분(중징계, 경징계, 주의, 문책 등), 징계 감경처분 관련 

조사 처분(기관경고) 등 비위발생으로 인해 총 △17.50점의 감점이 발생함(누적 감점 지표). 

조직 구성원에 대한 내부 교육이 전무한 상황으로 직원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강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며, 인권경영체계의 수립, 인권영향평가의 실시, 인권경영 실행을 위한 조직의 

구성, 인권교육 등 전반적인 인권경영 성과가 미흡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8  -

기관명

사회적  가치

평가
점수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비위
발생
여부

윤리
경영

인권
경영

재난
안전
관리

지역
상생
발전

장애인

의무
고용

미준수

친환경

경영 

경영
공시 
통합
공시

정보
보안
관리
운영

(4.00점) (감점) (2.00점) (2.00점) (2.00점) (3.00점) (가감점) (0.30점) (0.40점) (0.30점) (14.00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3.40점 -2.00점 1.50점 1.50점 1.56점 2.51점 -1.00점 0.36점 0.20점 0.30점 8.33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3.62점 -1.10점 1.30점 1.38점 1.50점 2.50점 0.00점 0.23점 0.40점 0.30점 10.13점

제주연구원

3.34점 0.00점 1.40점 1.50점 1.38점 2.50점 0.00점 0.23점 0.40점 0.30점 11.05점

제주문화예술재단 3.60점 -0.50점 1.60점 1.64점 1.56점 2.60점 0.00점 0.26점 0.40점 0.30점 11.46점
제주신용보증재단 3.60점 0.00점 1.60점 1.50점 1.62점 2.70점 0.00점 0.23점 0.40점 0.30점 11.95점

제주4‧3평화재단

3.50점 -2.50점 1.50점 1.50점 1.62점 2.70점 -1.00점 0.23점 0.20점 0.30점 8.05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3.66점 0.00점 1.50점 1.44점 1.56점 2.70점 0.00점 0.36점 0.20점 0.30점 11.72점

제주한의약연구원 3.38점 -0.50점 1.70점 1.44점 1.62점 2.60점 0.00점 0.23점 0.40점 0.30점 11.17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3.68점 -2.30점 1.40점 1.44점 1.50점 2.06점 0.00점 0.23점 0.40점 0.30점 8.71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3.46점 0.00점 1.30점 1.50점 1.42점 2.30점 0.00점 0.20점 0.40점 0.30점 10.88점

제주사회서비스원 3.32점 -17.50점 1.00점 1.30점 1.36점 2.30점 0.00점 0.23점 0.20점 0.30점 -7.49점

평균

3.51점 -2.40점 1.44점 1.47점 1.52점 2.50점 -0.18점 0.25점 0.33점 0.30점 8.72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9  -

2-4  경영성과

■ 경영성과의 평균 점수 : 41.95점(배점 46.00점)

출자‧출연기관 평균점수

기관명

평균점수 41.95점

평균 이상 기관 : 8개 기관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약연구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평균 이하 기관 : 3개 기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4‧3평화재단, 

제주사회서비스원

◯ 경영성과 영역의 평균점수는 41.95점이며, 평균점수 이상을 획득한 기관은 제주경제통상

진흥원, 제주연구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한의
약연구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8개 기관임

◯ 경영성과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 이하를 획득한 기관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4‧3평화

재단, 제주사회서비스원 3개 기관임

■ 경영성과 영역 세부지표 평가결과

◯ 경영성과 영역은 고객만족도(5.00점),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3.00점), 핵심과제 선정

의 적정성 및 도전성(8.00점), 핵심과제 달성도(30.00점)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11개 출자‧출연기관 경영성과 영역 평가결과, 우수 기관은 제주문화예술재단(44.90점), 실적이 

가장 저조한 기관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34.14점)으로 나타남

- 제주문화예술재단 : 현재 제주 예술문화에 대한 사업추진 중 발생한 문제점과 환경변화 등에 

대응하여 예술인 등의 의견수렴을 다각도로 모색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현장 의견수렴 

라운드테이블 등의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 운영하는 등 환류체계를 구축함. 또한, 핵심과제 

운영의 난이도 상향 추진으로 지표의 평가방법과 목표치 설정 수준이 우수하며 전반적인 사업

성과 실적이 향상됐으며 사업성과 지표에서 100% 달성률을 기록함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중장기 경영전략 체계 재수립과 연동된 재정

운영계획 수립이 다소 미흡함. 혁신적 경영관리체계 구축(경영혁신시스템 구축), 글로벌 MICE

중심지(글로벌 경쟁력 강화), ESG경영확산(지속가능 경영환경 조성) 관련 예산은 편성했으나, 

MICE유치 경쟁이 심화되며 차별화가 요구되는 시점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예산이 부재

함. 전사적인 경영목표 및 핵심사업의 인지도 제고와 연계된 사업성과가 창출될 수 있는 체계

적인 홍보전략 수립 및 추진이 미흡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0  -

기관명

경영성과

평가점수

고객만족도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  및 

도전성

핵심과제

달성도

(5.00점)

(3.00점)

(8.00점)

(30.00점)

(46.00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4.77점

2.38점

7.60점

19.39점

34.14점

제주경제통상진흥원

4.64점

2.26점

7.20점

27.93점

42.03점

제주연구원

4.57점

2.38점

7.60점

30.00점

44.55점

제주문화예술재단

4.74점

2.56점

7.60점

30.00점

44.90점

제주신용보증재단

4.65점

2.44점

7.60점

27.92점

42.61점

제주4‧3평화재단

4.64점

2.68점

7.60점

24.42점

39.34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4.72점

2.68점

7.60점

29.08점

44.08점

제주한의약연구원

4.74점

2.56점

7.60점

28.84점

43.74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4.72점

2.56점

7.60점

29.40점

44.28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4.61점

2.26점

7.60점

30.00점

44.47점

제주사회서비스원

4.61점

2.35점

6.80점

23.58점

37.34점

평균

4.67점

2.46점

7.49점

27.32점

41.95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1  -

3

  기관별  주요이슈  및  세부  평가결과

3-6  제주4‧3평화재단

2023년 실적

리더십

경영시스템

사회적책임

경영성과

총점

배점

11.00점

29.00점

14.00점

46.00점

100.00점

득점

9.45점

25.16점

8.05점

39.34점

82.00점

달성도

85.91%

86.76%

57.50%

85.52%

82.00%

총평

우수사항

Ÿ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사업 모니터링 점검 계획을 타임테이블 형태로 체계

적으로 점검하고자 노력함

Ÿ 대학교 청년인턴제도 활용, 학예사 필요성 증대에 따라 도 공공문화 예술공간 전문

인력 학예인턴 양성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보조인력 지원을 받아 업무 효율화 추진

Ÿ 신규 도입한 성과관리제도는 팀원의 경우 업적평가 50%, 역량평가 50%, 팀장 이

상의 관리직은 업적평가 60%, 역량평가 40%로 반영하여 직위별 역할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임

미흡사항

Ÿ 중장기 목표 도출이 다소 미흡하며, 특히 홍보강화 및 역량강화 측면의 활동을 통

한 기관 및 4·3정신의 공유활동 확대 노력 미흡

Ÿ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달성가능한 추진과제 및 정량목표 수립과 중장기 측면의 로드

맵을 제시하는 구체적 이행방안 제시 미흡

Ÿ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에 있어 최고등급 인원배분율 20.83%로 행안부 지침을 준수

하지 못하고 있어 이해도 제고를 통한 관리 방안 마련이 요구됨

Ÿ 기관 홈페이지에 2023년 청렴도 평가결과 미공개되어 있어 지속 모니터링 필요
Ÿ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긍정적으로  추진중이나  이에  대한 

홍보활동이 다소 미흡하며,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홍보활동 활성화 필요

개선 요청사항

공통사항

Ÿ 행정안전부  가이드라인에  따른  직무  중심  2단계  우선도입(인력계획,  채용,  교육, 

전보인사 등) 추진

Ÿ 도 지방공공기관 혁신계획(′23.3.8)을 반영한 도정 연계 사업(현안 핵심사업) 목록화 및 

활성화 방안 마련

Ÿ 제주 내수회복 및 민생경제 활력 유도를 위한 전통시장(상점가) 이용 성과 창출 

기관 

개별사항

Ÿ ‘4·3’계승의 지속성을 위한 사업 현대화 작업이 필요하며, 평화기념관 및 공원이 

도민, 학생, 관광객들에게 4·3정신을 공유할 수 있는 활성화된 공간으로 탈바꿈
하기 위한 전략방안 마련

Ÿ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 노력이 있었으나, 절대적인 내부만족도 점수가 저조하여 만

족도 조사 환류 활동을 통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 마련

Ÿ 국도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액 확보를 위한 상품 

기획력 강화, 공기관 대행사업 수수료 확보 등 자체수입 확보 방안 강구

Ÿ 평가년도  사업계획수립과  성과환류를  위한  내부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사업추진성과에 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체계(전략 및 실행과제에 대한 KPI 설정, 부
서평가 연계 등) 운영을 통한 추진사업의 성과 구체화 추진

전년도
미완료

과제

Ÿ 승진적체 해소를 위한 직급별 정원조정 등 관리의 적정성 검토
Ÿ 경영평가성과급 지급 기준 이해도 증진을 통한 위배사항 해소 방안 마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2  -

■ 제주4‧3평화재단 세부 평가결과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득점

달성도

Ⅰ. 경영관리

-

54.00점

42.66점

79.00%

Ⅰ-1. 리더십 

-

11.00점

9.45점

85.91%

1. 경영층의 리더십 

비계량평가

4.00점

3.30점

82.50%

2. 전략경영

비계량평가

4.00점

3.40점

85.00%

3.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2.00점

1.75점

87.50%

4.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5.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감점)

0.00점

-

Ⅰ-2. 경영시스템

-

29.00점

25.16점

86.76%

1. 조직·인사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6.00점

4.96점

82.67%

2. 지원기능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3. 관리직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4. 외부전문가 구성 및 참여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5. 임·직원 교육실적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6.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7. 재정·예산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7.00점

5.75점

82.14%

8. 사업수행 효율성

계량평가

1.00점

0.96점

96.00%

9. 자체수입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0. 일반관리비 충당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1. 재정집행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2. 조달계약 실적

계량평가

1.00점

0.48점

48.00%

13. 총인건비 인상률 준수

계량평가

2.00점

2.00점

100.00%

14.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

계량평가

1.00점

0.50점

50.00%

15. 홍보의 적정성 및 달성성과

혼합평가

3.00점

2.51점

83.67%

Ⅰ-3. 일자리 확대

-

4.00점

3.50점

87.50%

1.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

혼합평가

4.00점

3.50점

87.50%

Ⅰ-4. 사회적 책임

-

10.00점

4.55점

45.50%

1. 비위 발생여부

계량평가

(감점)

-2.50점

-

2. 윤리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1.50점

76.67%

3. 인권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1.50점

75.00%

4. 재난·안전 관리

비계량평가

2.00점

1.62점

81.00%

5. 지역상생 발전

혼합평가

3.00점

2.70점

90.00%

6.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

계량평가

(가감점)

-1.00점

-

7. 친환경 경영

혼합평가

0.30점

0.23점

75.00%

8.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

계량평가

0.40점

0.20점

50.00%

9. 정보보안관리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0.30점

0.30점

100.00%

Ⅱ. 경영성과

-

46.00점

39.34점

85.52%

Ⅲ-1. 고객만족도

-

5.00점

4.64점

92.80%

1. 고객만족도 조사

계량평가

5.00점

4.64점

92.80%

Ⅲ-2. 사업성과 적절성

-

11.00점

10.28점

93.45%

1. 기관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

비계량평가

3.00점

2.68점

89.33%

2. 핵심과제(경영평가 사업지표) 선정의 적정성 및 도전성

비계량평가

8.00점

7.60점

95.00%

Ⅲ-3. 기관별 사업성과

-

30.00점

24.42점

81.40%

1. 4·3 추가진상 조사 및 연구 강화

계량평가

3.00점

2.50점

83.33%

1-1.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

계량평가

3.00점

2.50점

83.33%

2. 4·3 희생자, 유족 권익 신장 및 명예 회복

계량평가

3.00점

2.70점

90.00%

2-1. 4·3트라우마센터 심리 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

계량평가

3.00점

2.70점

90.00%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3  -

3. 4·3의 전국화·세계화

계량평가

24.00점

19.22점

80.08%

3-1.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계량평가

8.00점

6.30점

78.75%

3-2.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계량평가

8.00점

6.25점

78.13%

3-3.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

계량평가

8.00점

6.67점

83.38%

총점

-

100.00점

82.00%

82.00%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3년(′22  실적)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총괄보고서

제3장

기관별  평가결과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제주4‧3평화재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7  -

1

  종합  평가결과

1-1  기관 총평

2023년 실적

리더십

경영시스템

사회적책임

경영성과

총점

배점

11.00점

29.00점

14.00점

46.00점

100.00점

득점

9.45점

25.16점

8.05점

39.34점

82.00점

달성도

85.91%

86.76%

57.50%

85.52%

82.00%

총평

우수사항

Ÿ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사업 모니터링 점검 계획을 타임테이블 형태로 체계

적으로 점검하고자 노력함

Ÿ 대학교 청년인턴제도 활용, 학예사 필요성 증대에 따라 도 공공문화 예술공간 전문

인력 학예인턴 양성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보조인력 지원을 받아 업무 효율화 추진

Ÿ 신규 도입한 성과관리제도는 팀원의 경우 업적평가 50%, 역량평가 50%, 팀장 이

상의 관리직은 업적평가 60%, 역량평가 40%로 반영하여 직위별 역할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임

미흡사항

Ÿ 중장기 목표 도출이 다소 미흡하며, 특히 홍보강화 및 역량강화 측면의 활동을 통

한 기관 및 4·3정신의 공유활동 확대 노력 미흡

Ÿ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달성가능한 추진과제 및 정량목표 수립과 중장기 측면의 로드

맵을 제시하는 구체적 이행방안 제시 미흡

Ÿ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에 있어 최고등급 인원배분율 20.83%로 행안부 지침을 준수

하지 못하고 있어 이해도 제고를 통한 관리 방안 마련이 요구됨

Ÿ 기관 홈페이지에 2023년 청렴도 평가결과 미공개되어 있어 지속 모니터링 필요
Ÿ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긍정적으로  추진중이나  이에  대한 

홍보활동이 다소 미흡하며,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홍보활동 활성화 필요

개선 요청사항

공통사항

Ÿ 행정안전부  가이드라인에  따른  직무  중심  2단계  우선도입(인력계획,  채용,  교육, 

전보인사 등) 추진

Ÿ 도 지방공공기관 혁신계획(′23.3.8)을 반영한 도정 연계 사업(현안 핵심사업) 목록화 및 

활성화 방안 마련

Ÿ 제주 내수회복 및 민생경제 활력 유도를 위한 전통시장(상점가) 이용 성과 창출 

기관 

개별사항

Ÿ ‘4·3’계승의 지속성을 위한 사업 현대화 작업이 필요하며, 평화기념관 및 공원이 

도민, 학생, 관광객들에게 4·3정신을 공유할 수 있는 활성화된 공간으로 탈바꿈
하기 위한 전략방안 마련

Ÿ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 노력이 있었으나, 절대적인 내부만족도 점수가 저조하여 만

족도 조사 환류 활동을 통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 마련

Ÿ 국도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액 확보를 위한 상품 

기획력 강화, 공기관 대행사업 수수료 확보 등 자체수입 확보 방안 강구

Ÿ 평가년도  사업계획수립과  성과환류를  위한  내부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사업추진성과에 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체계(전략 및 실행과제에 대한 KPI 설정, 부
서평가 연계 등) 운영을 통한 추진사업의 성과 구체화 추진

전년도
미완료

과제

Ÿ 승진적체 해소를 위한 직급별 정원조정 등 관리의 적정성 검토
Ÿ 경영평가성과급 지급 기준 이해도 증진을 통한 위배사항 해소 방안 마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8  -

1-2  지표별 평가결과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득점

달성도

Ⅰ. 경영관리

-

54.00점

42.66점

79.00%

Ⅰ-1. 리더십 

-

11.00점

9.45점

85.91%

1. 경영층의 리더십 

비계량평가

4.00점

3.30점

82.50%

2. 전략경영

비계량평가

4.00점

3.40점

85.00%

3.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2.00점

1.75점

87.50%

4.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5.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감점)

0.00점

-

Ⅰ-2. 경영시스템

-

29.00점

25.16점

86.76%

1. 조직·인사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6.00점

4.96점

82.67%

2. 지원기능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3. 관리직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4. 외부전문가 구성 및 참여율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5. 임·직원 교육실적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6.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7. 재정·예산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7.00점

5.75점

82.14%

8. 사업수행 효율성

계량평가

1.00점

0.96점

96.00%

9. 자체수입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0. 일반관리비 충당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1. 재정집행률

계량평가

1.00점

1.00점

100.00%

12. 조달계약 실적

계량평가

1.00점

0.48점

48.00%

13. 총인건비 인상률 준수

계량평가

2.00점

2.00점

100.00%

14.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

계량평가

1.00점

0.50점

50.00%

15. 홍보의 적정성 및 달성성과

혼합평가

3.00점

2.51점

83.67%

Ⅰ-3. 일자리 확대

-

4.00점

3.50점

87.50%

1.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

혼합평가

4.00점

3.50점

87.50%

Ⅰ-4. 사회적 책임

-

10.00점

4.55점

45.50%

1. 비위 발생여부

계량평가

(감점)

-2.50점

-

2. 윤리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1.50점

76.67%

3. 인권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1.50점

75.00%

4. 재난·안전 관리

비계량평가

2.00점

1.62점

81.00%

5. 지역상생 발전

혼합평가

3.00점

2.70점

90.00%

6.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

계량평가

(가감점)

-1.00점

-

7. 친환경 경영

혼합평가

0.30점

0.23점

75.00%

8.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

계량평가

0.40점

0.20점

50.00%

9. 정보보안관리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0.30점

0.30점

100.00%

Ⅱ. 경영성과

-

46.00점

39.34점

85.52%

Ⅲ-1. 고객만족도

-

5.00점

4.64점

92.80%

1. 고객만족도 조사

계량평가

5.00점

4.64점

92.80%

Ⅲ-2. 사업성과 적절성

-

11.00점

10.28점

93.45%

1. 기관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

비계량평가

3.00점

2.68점

89.33%

2. 핵심과제(경영평가 사업지표) 선정의 적정성 및 도전성

비계량평가

8.00점

7.60점

95.00%

Ⅲ-3. 기관별 사업성과

-

30.00점

24.42점

81.40%

1. 4·3 추가진상 조사 및 연구 강화

계량평가

3.00점

2.50점

83.33%

1-1.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

계량평가

3.00점

2.50점

83.33%

2. 4·3 희생자, 유족 권익 신장 및 명예 회복

계량평가

3.00점

2.70점

90.00%

2-1. 4·3트라우마센터 심리 상담을 통해 

계량평가

3.00점

2.70점

90.00%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29  -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

3. 4·3의 전국화·세계화

계량평가

24.00점

19.22점

80.08%

3-1.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계량평가

8.00점

6.30점

78.75%

3-2.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계량평가

8.00점

6.25점

78.13%

3-3.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

계량평가

8.00점

6.67점

83.38%

총점

-

100.00점

82.00%

82.00%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0  -

2

  리더십  영역  평가결과

2-1  영역 평가결과 종합

■ 리더십 영역의 평가결과

◯ 리더십 영역은 전체 11.00점의 배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경우 전체 11.00점 중 9.45점을 

획득함

◯ 리더십 영역은 비계량 평가지표와 계량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량 평가지표의 가중치

가 8.00점, 계량지표의 가중치는 3.00점임. 기관은 비계량 평가결과 배점 8.00점 중 6.70점, 
계량지표 평가결과 배점 3.00점 중 감점을 포함하여 2.75점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등급

평점

득점

Ⅰ. 경영관리(리더십)

-

11.00점

-

-

9.45점

Ⅰ-1. 리더십 

11.00점

-

-

9.45점

1. 경영층의 리더십

비계량평가

4.00점

-

-

3.30점

1-1. 기관의 사명과 사회적 역할의 파악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75.00점

0.75점

1-2.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85.00점

1.70점

1-3. 적극행정 추진노력과 성과 및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증진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2. 전략경영

비계량평가

4.00점

-

-

3.40점

2-1. 중장기전략 수립의 타당성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85.00점

1.70점

2-2. 조직자원 배분·관리 및 사업
추진과정 점검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85.00점

1.70점

3.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2.00점

-

-

1.75점

3-1. 전년도 경영평가 지적사항 이행률

계량평가

2.00점

-

-

1.75점

4.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4-1. 전년도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률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5.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감점)

-

-

0.00점

5-1.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감점)

-

-

0.00점

합계

-

11.00점

-

-

9.45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1  -

2-1  세부 평가결과

1) 경영층의 리더십

■ 평가결과

◯ 경영층의 리더십은 전체 4.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3.30점으로 달성

수준 82.50%로 파악됨

- 기관의 사명과 사회적 역할의 파악(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75

점을 득점하였고,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

(85.00점)으로 1.70점을 득점하였으며, 적극행정 추진노력과 성과 및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증진(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 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기관의 사명과 사회적 가치 실현 및 경영목표 달성노력과 조직구성원 동기

부여 노력과 성과를 평가한다.

Ÿ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지역주민  등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증진을 

위한 노력과 성과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4.00점

득점

3.30점

달성수준

82.5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기관의 사명과 사회적 역할의 파악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0.75점

①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1.70점

② 적극행정 추진노력과 성과 및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증진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 세부 평가내용

 ① 기관의 사명과 사회적 역할의 파악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재단의 정관에 정해진 ‘평화의 증진과 인권의 신장’을 통해 ‘국가와 지역

사회발전에  기여함’이라는  사명과  사회적  역할을  반영하고  있으며,  ‘법이 

정한 재단의 책무를 수행함에 있어 초심을 잃지 않고 주어진 사명을 다하겠

습니다’라는 적극적 경영의지를 표명하고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2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기존 비상근 기관장 체제에서 상근 기관장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향후 기관

의 추진 동력 확보 및 발전방향 제시 등의 성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함

- 4·3 진상조사 관련 사업 종료에 따라 지원사업 및 복지사업 등에 대한 계획

을 재수립하고, 중장기 측면에서 사업 대상의 변화 및 구분을 통한 사업변화 

및 계획 조정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지원대상자가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됨에 따라 사업추진의 범위조정 및 

검토가 요구됨

- 4·3연구자 육성, 진상조사, 홍보공유를 통한 도민역량강화, 세대전승 측면에

서 사업의 다양화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4·3의 정의로운 해결’이라는 미션과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 선

도’라는 비전을 수립하고, 핵심가치로 인권, 정의, 평화, 화해를 위한 4대 목표

(희생자·유족 명예회복, 진실규명, 전국화·세계화, 세대전승)를 수립하고 있음

- 비전과  목표  추진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  관리는  주요사업  점검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추진상황에 대한 수시 모니터링을 통한 점검을 통해 사업추진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비전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함

- 비전목표 수립 시 직원회의 및 이사회 보고를 통해 의견수렴을 하였고, 설립

된 비전목표는 평가년도 시무식을 통해 이사장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공표하

는 방법으로 공유함

- 주간회의, 월간회의, 팀회의를 통해 수시로 주요사업의 추진상황, 예산집행 점검 

등 미션과 비전 달성을 위해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음

-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사업 모니터링 점검 계획을 타임테이블 형태로 

체계적으로 점검하고자 노력함

- 다만, 대외기관의 정체성 및 존재의 이유 등을 홍보하고, 전파/공유하여 기관 

존재의 의무(역할과 기능) 제고 방안 마련 및 기관의 미래상 재정립(현재 평화

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 선도)이 요구됨

- 특히, 많은 도민, 학생, 관광객 등에게 4·3정신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비전과 가치를 쉽게 정의하고, 쉽게 전파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

잘된 

사항

- 기존 비상근 기관장 체제에서 상근 기관장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향후 기관의 

추진 동력 확보 및 발전 방향 제시 등의 성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함

미흡한 

사항

- 4·3 진상조사 관련 사업 종료에 따라 지원사업 및 복지사업 등에 대한 계획을 

재수립하고, 중장기 측면에서 사업 대상의 변화 및 구분을 통한 사업변화 및 

계획 조정의 노력이 필요함

- 지원대상자의 생애주기가 변화됨에 따라 사업추진의 범위조정 및 검토가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3  -

 ②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4·3연구자 육성, 진상조사, 홍보공유를 통한 도민역량강화, 세대전승 측면에

서 사업의 다양화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대외기관의 정체성 및 존재의 이유 등을 홍보하고, 전파/공유하여 기관 존재

의 의무(역할과 기능) 제고 방안 마련 및 기관의 미래상 재정립이 필요함

- 많은 도민, 학생, 관광객 등에게 4·3정신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비전

과 가치를 쉽게 정의하고, 쉽게 전파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

개선

의견

- 4·3 진상조사 관련 지원사업 및 복지사업 등에 대한 계획 재수립 필요함

- 중장기 측면에서 사업변화 및 계획 조정의 노력을 추진함

- 지원대상자의 생애주기가 변화됨에 따라 사업추진의 범위조정 및 검토가 요구됨

- 대외기관의 정체성 및 존재의 이유 등을 홍보/전파/공유하여 기관 역할 제고 

방안 마련 및 기관의 미래상 재정립이 요구됨

- 많은 도민, 학생, 관광객 등에게 4·3정신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비전

과 가치를 쉽게 정의하고, 쉽게 전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ESG 경영을 위해 소통과 협력, 사회적 책임 강화를 포함한 재단 전략 목표를 

설정하고 재단 전략목표 재설정, 경영 효율화, 경영 환경 개선(인권교육, 청렴

교육 등)을 통한 ESG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을 추진함     

- 기관의 목표달성에 있어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탄력적 경영, 4·3 추가진상

조사, 4·3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 4·3수형인 직권재심 지원, 4·3의 전국화·

세계화, 4·3 유족복지 확대, 4·3평화공원 및 기념관 운영 활성화 항목별 사업

을 추진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함

- 다만, 기관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가 불명확하여 기관 차원의 중장기 경영목표

(구체적인  정량화된  목표)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업 부분별․부서별 추진

체계와 연계한 성과지표 마련이 필요함

- 비전  목표  달성을  위해  부서별  중점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함

- 다만, 사업 부분별·부서별 추진체계와 연계한 성과지표 마련이 필요하며, 기

관차원에서  지속적인  설문  및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고,  기관  및  4·3정신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속적인 관점에서 기관의 목표를 도출하여 운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4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성과관리 특강을 통해 직원들의 업무와 관련하여 목표설정, 성과관리, 인사평

가, 보상체계의 흐름을 파악하여 업무 추진의 동기를 부여하고자 노력함

- 직원들의 4·3 관련 전문성 향상을 위해 4·3 소양교육을 추진함. 그러나, 성

과관리 측면에서 교육실적을 성과관리에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포상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음

- 업무와  관련된  목표설정-성과관리-내부평가-보상체계의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화된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내부 직원들의 동기부여활동 측면

에서의 관리 노력이 요구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기관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가 불명확하여 기관 차원의 중장기 경영목표(구체

적인 정량화된 목표)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 사업 부분별·부서별 추진체계와 연계한 성과지표 마련이 필요함

- 기관 차원에서 지속적인 설문 및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고, 기관 및 4·3정신

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속적인 관점에서 기관의 목표를 도출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성과관리 측면에서 교육실적을 성과관리에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포상

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음

- 업무와  관련된  목표설정-성과관리-내부평가-보상체계의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화된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내부 직원들의 동기부여활동 측면

에서의 관리 노력이 요구됨

개선

의견

- 기관 차원의 중장기 경영목표(구체적인 정량화된 목표)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업 부분별 부서별 추진체계와 연계한 성과지표 마련이 필요함

- 기관 차원에서 지속적인 설문 및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고, 기관 및 4·3정신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속적인 관점에서 기관의 목표를 도출하여 운영

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권장됨

- 성과관리 측면에서 교육실적을 성과관리에 포함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 필요함

- 업무와  관련된  목표설정-성과관리-내부평가-보상체계의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 마련 및 내부 직원들의 동기부여 활동 측면에서의 관리가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5  -

 ③ 적극행정 추진노력과 성과 및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증진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개인역량평가와  업적평가를  시행하는  성과관리체계  구축하였고,  직무중심의 

인사관리 도입, 주요사업 활성화를 위한 협조공문 발송, 타 기관과의 업무협

약을  통한  주기적인  문화  경험을  통해  4·3에  대한  공감대  확산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적극행정을 추진하고자 노력함

- 다만, 적극행정을 추진하는 근본적인 취지인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강화

를 통한 시너지 창출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됨

- 외부 고객이 다양한 부분에 기관의 시설이용 및 사업참여를 하는 부분을 활

용한 의견수렴 및 개선활동 노력이 요구됨

-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단  운영의  주요사항

(규정 제·개정 사항, 예산의 확보·편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협의를 통해 

운영하고 있음

- 지역주민,  시민단체,  유관기관과의  협력  유대관계를  통한  지역문제를  해결하

고자 노력하였고, 지역주민과의 소통을 위한 활동을 추진함

- 유족복지 및 명예회복 관련 사업추진, ‘4·3’작은전시관 설치 운영 등 4·3

의 전문화·세계화·미래화를 위한 활동추진, 지역 행사 ‘봉개동 어울림 한

마당’, ‘사랑나누기’행사 참여 등 지역주민과의 소통이 활성화됨

- 노사협의회 운영을 하고 있으며, 평가년도에는 노사협의회를 6회 개최하여 직

원 수당 및 복리후생 제도  관련, 뮤지엄샵  운영에 대한 단시간 근로자 채용 

문제, 재단 구내식당 운영 관련, 직원 휴게시설 마련 등 근로환경 개선을 위

한 의견수렴 등의 노사협의를 위한 의견수렴 활동을 추진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적극행정을 추진하는 근본적인 취지인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강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보임

- 외부 고객이 다양한 부분에 기관의 시설이용 및 사업참여를 하는 부분을 활

용한 의견수렴 및 개선활동 노력이 다소 미흡함

개선

의견

-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강화를 위한 활동 보완이 요구됨

- 외부 고객이 다양한 부분에 기관의 시설이용 및 사업참여를 하는 부분을 활

용한 의견수렴 및 개선활동 노력이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6  -

2)  전략경영

■ 평가결과

◯ 전략경영은 전체 4.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3.40점으로 85.00% 수준

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중장기전략 수립의 타당성(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1.70점을 득

점하였고, 조직자원 배분·관리 및 사업추진과정 점검(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

급(85.00점)으로 1.70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 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당해기관의 중장기전략이 경영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설립목적과 지

방자치단체의 정책방향에 부응한 비전과 미션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사
업별‧부서별 목표와 연계된 운영, ESG 및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경영계획 수
립정도를 평가한다.

Ÿ 주요사업별로 인력‧예산 등 조직자원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체계적으로 관리

되고 있으며,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점검과 환류가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4.00점

득점

3.40점

달성수준

85.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중장기전략 수립의 타당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1.70점

② 조직자원 배분·관리 및 사업추진과정 점검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1.7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중장기전략 수립의 타당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도정 정책과제(도민 모두를 위한 4·3 명예회복 추진, 4·3의 정의로운 해결

을 위한 진상규명과 정명 완성, 4·3의 전국화·세계화·미래화 추진)를 반영

하여 기관의 전략목표와 주요 역점사업을‘추모와 유족 위무, 4·3 진상규명 

및 연구기반 강화, 4·3의 가치 전승’으로 재정립함

- 다만, 전략목표에 따른 핵심성공요인(주요 추진과제)을 도출하고 있으나, 정량

화된 경영목표 도출을 통한 구체화된 사업목표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고, 전

략목표-사업과제의 재연계를 검토하여 내부 실행력 강화 노력이 요구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7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경영여건에  있어  외부적으로  4·3특별법  개정으로  4·3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 코로나 위기 단계 조정에 따른 4·3공원 방문객 확대 및 대면 사업 활

성화 등, 내부적으로는 ESG 지속 가능 경영 필요, 4·3트라우마센터 사업 활

성화 및 국립화 추진에 대한 이슈, 정부 정책적으로는 ‘ 전 국민이 공감하는 

4·3의 완전한 해결, 평화의 가치 전 세계확산’공약, 제주도 정책으로는 도

민 모두를 위한 4·3명예회복 추진, 4·3의 전국화·세계화·미래화 모색이라

는  경영환경의  변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전략을 

재정립함

- 다만, 중장기 측면의 목표 도출이 필요하고, 특히 홍보 강화 및 역량 강화 측

면의 활동을 통한 기관 및 4·3정신의 공유활동 확대 노력이 요구됨

- 기관의 목표로 도출한 ‘세대전승’, ‘전국화/세계화’ 측면에서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희생자 유족 명예회복’, ‘진실규명’등의 성과가 연계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함

- 예산에 따른 사업추진 이전에 사업추진 방향을 재설정하고, 기관의 미흡하거

나 부족한 부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창의적인 방안 마련 및 추진이

행 노력이 요구됨

- 새로운  중장기  경영전략  수립에  따라  ‘4·3의  정의로운  해결’의  미션과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 선도’의 비전 아래 5대 전략목표를 수립

하고 핵심사업을  도출하고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5개  부서(총무팀, 기념사업

팀, 공원관리팀, 트라우마센터, 조사연구실)에서 각 사업의 추진방향을 수립함

-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기관 ESG 경영 기반을 구축하고, 환경우선, 지역사

회 소통 및 사회공헌 활동 활성화, 경영효율화를 위한 방향성을 가지고 녹색

제품 구매, 4·3관련 단체-기관,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대관료 면제, 하계휴가 

기간 및 추석 명절 계기 직원 근무기강 자체 점검 등 ESG 경영계획에 따른 

추진 성과가 있음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전략목표에 따른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있으나, 정량화된 경영목표 도출을 

통한 구체화된 사업목표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함

- 전략목표-사업과제의 재연계를 검토하여 내부 실행력 강화 노력이 요구됨

- 중장기 측면의 목표 도출이 다소 미비한 상황으로 기관 및 4·3정신의 공유

활동을 위한 별도 홍보 강화 및 역량 강화 측면의 활동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기관의 목표로 도출한 ‘세대전승’, ‘전국화/세계화’ 측면에서의 적극적인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8  -

 

 ② 조직자원 배분·관리 및 사업추진과정 점검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노력을 통해 ‘희생자 유족 명예회복’, ‘진실규명’등의 성과가 연계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됨

- 예산에 따른 사업추진 이전에 사업추진 방향의 재설정 및 사업추진 결과에 따

른 미흡사항에 대한 환류 방안, 전략목표 이행을 위한 창의적 사업추진 등의 

노력이 미흡함

개선

의견

- 정량화된  경영목표  도출을  통한  구체화된  사업목표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

고, 전략목표-사업과제의 재연계를 검토하여 내부 실행력 강화 노력이 요구됨

- 중장기 측면의 목표 도출이 필요하고, 특히 홍보  강화 및 역량 강화 측면의 

활동을 통한 기관 및 4·3정신의 공유활동 확대노력이 필요함

- 기관의 목표로 도출한 ‘세대전승’, ‘전국화/세계화’ 측면에서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희생자 유족 명예회복’, ‘진실규명’등의 성과가 연계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됨

- 예산에 따른 사업추진 이전에 사업추진 방향을 재설정하고, 기관의 미흡하거

나 부족한 부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창의적인 방안 마련 및 추진이

행 노력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중장기 인력운영계획 수립을 통하여 조사연구실 신설, 어린이체험관 운영부서 

변경, 공원·기념관 관리팀 팀명 변경, 4·3트라우마 센터 시범 운영, 부서별 

업무분장을 통하여 사업수행의 효율성을 강화함

- 다만, 사업추진의 성과 확인은 있으나, 성과에 따른 환류활동은 다소 미흡하

다고 판단됨

- 추진사업 방향에 대한 명확화를 통한 구체적 사업목표 설정, 사업별 성과목표

의 도전적 설정 등의 선순환구조의 추진체계 마련이 필요함

- 특히, 내부 성과관리체계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고도화 및 개선 노력이 요구됨

- 내부 조직자원의 배분 및 추진과정 상의 모니터링 활동은 세분화화고, 문서화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며,  사람  중심의  관리체계가  아닌,  업무중심의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함

- 전반적인 사업계획안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세부사업별 구체화된 관리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39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모니터링)노력은 다소 미흡하다고 보이며, 세부사업별 구체화된 목표 및 인력

/예산배분,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 비전과 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하여 월별 점검 모니터링(점검) 계획(안)을 마

련하여, 매월, 분기별, 필요시 사업실행의 추진 정도를 점검 및 관리할 수 있

도록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음

- 계획 수립 및 환류의 과정에서 사업 및 운영 관련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고, 

팀 단위 회의 및 주간·월간회의 시 평가 및 환류의 과정을 마련하고 있음

- 이사회 의견 수렴 및 반영, 부서별 주간·월간회의를 통하여 주요사업 추진상

황에 대한 자료 수합 후 점검회의 개최, 예산점검, 집행잔액 추정을 통한 향

후 예산 집행 방안 검토, 팀별 성과관리점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여건 변화에 

따른 대응마련 소통창구를 마련하고 있음

- 대내외 경영여건 및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따른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개선 방안으로 4·3추가진상조사 등 조사·연구 사업 추진, 

4·3의 전국화·세계화·미래화를 위해 기념사업 추진, 4·3 왜곡 및 희생자 

폄훼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4·3트라우마센터 내부 운영 내실화 및 사업 활

성화,  4·3피해자  보상금  지급에  따라  내부  민원  처리  및  적극  정보  공유, 

ESG 지속가능 경영  강화라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주요사업

들에 대한 추진실적이 있음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사업추진의 성과 확인은 있으나, 성과에 따른 환류활동은 다소 미흡한 수준임

- 추진사업 방향에 대한 명확화를 통한 구체적 사업목표 설정, 사업별 성과목표의 

도전적 설정 등의 선순환구조의 추진체계가 다소 부족함

- 내부 성과관리체계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고도화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함

- 조직자원의 배분 및 추진과정 상의 모니터링 활동은 세분화화고, 문서화를 통한 

관리가 다소 부족하고, 사람중심의 관리체계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임

- 전반적인 사업계획안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세부사업별 구체화된 관리

(모니터링)노력은 다소 미흡하다고 보이며, 세부사업별 구체화된 목표 및 인력

/예산배분,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개선

의견

- 사업추진의 성과에 따른 환류 활동 마련이 필요함

- 추진사업 방향에 대한 명확화를 통한 구체적 사업목표 설정, 사업별 성과목표

의 도전적 설정 등의 선순환구조의 추진체계 마련이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0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내부 성과관리체계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고도화 및 개선 노력이 권장됨

- 내부 조직자원의 배분 및 추진과정 상의 모니터링 활동은 세분화하고, 문서화

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며, 사람중심의 관리체계가 아닌, 업무중심의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됨

- 세부사업별  구체화된  목표  및  인력/예산배분,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1  -

3)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

■ 평가결과

◯ 경영평가 개선 권고사항 이행실적은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75점으로 달성수준 87.50%로 파악됨

- 전년도 경영평가 개선권고사항 이행과제는 총 8건이며, 이 중 이행이 완료된 과제 건수는 7건

으로 나타남(중장기 1건 모수제외)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대실적

평가정의

Ÿ 전년도 경영평가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률을 점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00점

득점

1.75점

달성수준

87.50%

점검결과

이행률

87.50%

개선권고사항

8건

개선 이행과제 수

7건

구분

경영평가 지적사항

이행여부

공통
사항

Ÿ 직무 중심의 인사관리 체계 전환을 위한 인사관리(보수, 승진 등) 기반 제도 마련

이행

Ÿ 이사회 운영 관련 안건 기일 준수를 위한 내부 규정 또는 지침 개선

이행

Ÿ 대외  환경변화  및  트렌드에  따른  신규  콘텐츠,  프로그램을  발굴하되  기존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재구조화

이행

기관
개별
사항

Ÿ 전사 전략체계와 연계한 핵심가치, 경영의지의 대외 공표 활동 추진 필요

이행

Ÿ 미션 및 비전의 공유, 내재화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이행

Ÿ 정원을 고려한 조직 운영 효율화 방안 모색

이행

Ÿ 승진적체 해소를 위한 직급별 정원조정 등 관리의 적정성 검토

중장기

Ÿ 4․3왜곡, 폄하에 대한 적극적 홍보 대응 전략 및 4․3 평화공원, 기념관 운영 활

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모색 

이행

Ÿ 경영평가성과급 지급 기준 이해도 증진을 통한 위배사항 해소 방안 마련

미이행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2  -

4)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

■ 평가결과

◯ 외부감사 지적사항 이행실적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

점으로 달성수준 100.00%로 파악됨

- 전년도 외부감사 지적사항은 총 12건이며, 이 중 이행이 완료된 과제 건수는 12건으로 나타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대실적

평가정의

Ÿ 중앙부처 감사, 지자체 감사 등 외부감사결과 지적사항 건수 및 적정 이행 

여부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점검결과

이행률

100.00%

개선권고사항

12건

개선 이행과제 수

12건

5)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

■ 평가결과

◯ 이사회 운영기준 준수는 최대 5.00점의 감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은 미이행/미준수 

사항이 부재하여 감점이 발생하지 않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기관의 예산이 수반되는 주요 정책사항과 관련하여 도 예산담당관과의 사전협

의 및 이사회 운영 수준을 점검하여 법령상 명시된 의무사항 준수 여부를 평
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감점)

최대 -5.00점

득점

0.00점

달성수준

-

점검결과

중요 안건 
사전 협의 

미이행

(안건별 –1.00점)

0건

이사회 소집 및 

안건 통지기간 

미준수

(안건별 –0.20점)

0건

0.00점

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3  -

3

  경영시스템  영역  평가결과

3-1  영역 평가결과 종합

■ 경영시스템 영역의 평가결과

◯ 경영시스템 영역은 전체 29.00점의 배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관의 경우 25.16점을 획득함

◯ 경영시스템 영역은 비계량 평가지표와 계량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량 평가지표의 가중치

가 15.00점, 계량지표의 가중치는 14.00점임. 기관은 비계량 평가결과 배점 15.00점 중 12.41점, 
계량지표 평가결과 배점 14.00점 중 가점을 포함하여 12.75점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등급

평점

득점

Ⅰ. 경영관리(경영시스템)

-

29.00점

-

-

25.16점

1. 조직·인사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6.00점

-

-

4.96점

1-1. 경영전략과 연계된 조직구조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1.50점

3등급 75.00점

1.13점

1-2. 인사관리의 합리성,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

비계량평가

1.50점

2등급 85.00점

1.28점

1-3. 직원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과 

성과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1-4. 성과관리 및 보상체계 구축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1-5. 양성평등을 위한 노력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2. 지원기능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3. 관리직 인력 비율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4. 외부전문가 구성 및 참여율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5. 임직원 교육실적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6.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7. 재정·예산관리 적정성

비계량평가

7.00점

-

-

5.75점

7-1. 재정계획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3.00점

2등급 85.00점

2.55점

7-2. 예산운용 및 집행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85.00점

1.70점

7-3. 기관 특성을 반영한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 및 성과

비계량평가

2.00점

3등급 75.00점

1.50점

8. 사업수행 효율성

계량평가

1.00점

-

-

0.96점

9. 자체수입률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10. 일반관리비 충당률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11. 재정집행률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12. 조달계약 실적

계량평가

1.00점

-

-

0.48점

13. 총인건비 인상률 준수

계량평가

2.00점

-

-

2.00점

14.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

계량평가

1.00점

-

-

0.50점

15. 홍보의 적정성 및 달성성과

혼합평가

3.00점

-

-

2.51점

15-1. 홍보 계획 및 노력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85.00점

1.70점

15-2. 홍보실적

계량평가

1.00점

-

-

0.81점

합계

-

29.00점

-

-

25.16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4  -

3-2  세부 평가결과

1)  조직・인사관리  적정성

■ 평가결과

◯ 조직·인사관리의 적정성은 전체 6.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4.96점

으로 달성수준 82.67%로 나타남

- 경영전략과 연계된 조직구조의 적정성(1.5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1.13점을 득점하였고, 인사관리의 합리성,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1.50점)에 대한 기

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1.28점을 득점하였으며, 직원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과 성

과(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고, 성과관리 및 보

상체계 구축의 적정성(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

였으며, 양성평등을 위한 노력과 성과(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 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조직·인사관리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6.00점

득점

4.96점

달성수준

82.67%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경영전략과 연계된 조직구조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50점

3등급

1.13점

② 인사관리의 합리성,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50점

2등급

1.28점

③ 직원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④ 성과관리 및 보상체계 구축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⑤ 양성평등을 위한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5  -

■ 세부 평가내용

 

 ① 경영전략과 연계된 조직구조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총괄

지표

개선

의견

- 해당 지표는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조직·인사관리의 적

정성을 평가한 결과, 전년도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 노력은 우수한 것으로 보

이나, 침체되어 있는 조직문화, 지속적으로 낮게 도출되는 고객만족도를 개선

할 수 있는 조직문화 개선과 사업성과 창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조직 및 인사관리 영역에 대한 개선과제를 부여함

- (개선과제)

① 책임경영 체계 실행에 따른 중장기 발전전략 재수립으로 실행력을 고도화할 

수 있는 조직개편 추진

② 적정인력 분석을 실시하여 사업 효과성 창출 방안 모색 필요

③  내부  고객  만족도가  절대적으로  낮은  상황으로(74.5점)  만족도  개선을  통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 강구

④ 직무에 따른 경로 설계로 직급별‧역량별 교육훈련계획 수립

⑤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해 내부 성과관리체계(부서 KPI) 내 교육이수율 지표배

점 부여함으로써 교육 및 인사상 연계성 강화 방안 마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정원을 고려한 조직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전년도 개

선과제 이행을 위해 내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한 조직운영 방향성 도출을 통한 

중장기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도  협의  결과  증원  소요  여력이  없어 

부서별 인력 재배치 및 업무분장을 통해 업무 효율화의 노력을 추진함

- 이 외에 체계적 성과관리, 근무환경 개선, 책임경영을 위한 기관장의 상근화 

등의 효율화 및 혁신 노력이 확인됨

2023년

추진

실적

- 소규모 인력 중심의 조직으로 사업성과 창출을 위한 조직개편 및 인력 재배

치, 업무 재조정 등의 활동이 지속 발생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구조임

- 대학교 청년인턴제도 활용, 학예사 필요성 증대에 따라 도 공공문화 예술공간 

전문인력  학예인턴  양성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보조인력  지원을  받아  업무 

효율화를 추진함

- 2023년 주요 핵심사업 추가진상조사, 4‧3 전국화, 세계화, 미래화(세대 가치 전

승 사업)로 해당 사업추진을 위해 인턴 등의 보조인력의 투입을 통해 사업 성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6  -

 ② 인사관리의 합리성,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과 창출을 추진함 

- 특히, 2023년도 재단에 대한 경영 투명성, 책임경영체계 확립을 위한 요구 증

대로 상근 이사장 제도 운영(조례 및 정관 개정), 중장기 발전전략 재수립, 이

사장의 경영철학 반영한 조직이 개편될 예정임

- 별도의 조직개편 활동은 없었던 상황으로, 2023년 말 관리직 비율은 18.8%로  

확인되며 지원인력 비율 역시 18.8%로 유지되고 있음

- 소규모 인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주 4‧3 및 평화 인권 관련 기관과의 교류를 

통한 4‧3의 전국화, 각종 사업성과 창출을 위해 내외부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한 조직 혁신을 추진함

- 행정인력 규모가 적은 상황을 고려하여 예산회계시스템과 전자문서시스템 간 

정보내역 연동이 안되는 부분이나 수기 작업이 필요했던 부분에 대해 업무의 

효율화 및 행정업무 최소화를 위해 업그레이드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승진적체 해소를 위한 직급별 정원조정 등 관리의 적정성을 검토하라는 전

년도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기관이 당면한 전년도 대내외 이슈로 인해 도와 

협의를 추진하지 못한 상황임

- 해당 과제는 추진사업 대비 적정인력 분석을 실시하여 도와 지속적 협의를 

통한 사업 효과성 창출 방안 모색이 필요함

2023년

추진

실적

- 인력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중장기  인력운영  계획을  수립함.  22년 

도 조직진단 결과 재단의 인력 충원의 필요성은 낮게 도출된 상황으로 인력 

증원에는 한계가  있으나, 재단 주요  사업별 추진방향에  따른 정원 외  인력 

채용을 통한 사업 수행을 추진하고자 함

- 직무중심 인사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1단계 과업이 완료됨

- 직무중심  인사관리제도는  공공기관  순환보직제도  운영을  고려하여  유사기능 

통합방식을  기준으로  제도  도입이  이루어졌으며  34개의  직무로  분류한  것으

로 확인됨

- 제도 도입을 위해 차장을 중심으로 노사협의체가 필수 참여한 회의를 추진하여 

전 직원 대상 간담회를 실시하는 등 직무중심 인사제도 도입을 위한 노사 간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임 

- 직무기술서 내에는 2단계 직무평가 시행 시 평가의 기준이 되는 직무의 난이도,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7  -

 ③ 직원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작업환경, 전사 영향도, 직무 적합 직종 및 직급 등에 대한 제시가 함께 이루

어지고 있어 2024년도 2단계 직무평가의 용이성 및 평가 결과 수용도 제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함

- 재단은 4월 3일은 행사 지원을 위해 복무일로 규정되어 있고 대체휴일을 지급

받고 있음 

- 과도한 복리후생제도 운영현황 점검 결과 육아기 및 임신기 단축근로제도를 

운영 중인 상황으로 임신기 단축근로제도는 유급으로, 육아기 단축근로제도

는  무급으로  운영하고  있음.  가족돌봄휴가제도는  무급으로  적정  운영  중에 

있고 자녀돌봄휴가제도는 별도로 미운영하고 있는 상황임

- 기관의 육아휴직 대상자는 당해연도 1명 발생하였으며 육아휴직 급여의 처

리 방법은 고용노동부를 통해 처리되고 있는 상황으로 기관 자체에서 별도

로 지원하고 있는 급여는 없는 상황임

- 현재 예산 삭감으로 인해 2023년도 시간외수당을 지급하지 못한 상황으로 동

기부여 저하, 조직문화 저해 등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고 있음

- 2022년 만족도  조사 결과, 평가 결과의  수용도 제고를 위해 부서 성과 평가 

제도를 시행하였고 성희롱 및 직장 내 괴롭힘 컨설팅 지원, 실태조사, 휴게실 

공간  조성  등을  통한  업무환경  개선  노력  추진  결과  내부만족도  조사  결과 

2022년 72.1점, 2023년 74.5점으로 전년 대비 2.4점 상승한 성과를 창출함

- 다만, 절대적 점수가 낮은 상황으로 만족도 개선을 통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

안의 고려가 요구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전직원 대상 교육수요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훈련 기본 계획에 반영함으로써 직원 역량을 고도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전년도 의견사항에 대해 조치 개선 실적은 부재한 상황임

- 기초적  수준의  연간  교육훈련계획을  바탕으로  전문교육기관과  연계한  직무

역량 강화 활동만이 추진되고 있을 뿐으로 교육훈련 활동 종료시점에 교육

수요조사를 통한 직원의 개선 요청사항에 대한 환류 활동(제도 개선, 교육과

정 개선) 추진 및 교육훈련 실행력 제고를 위한 교육 및 인사평가 상 연계

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8  -

 ④ 성과관리 및 보상체계 구축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2023년

추진

실적

- 현재 교육훈련 계획 내 역량은 공통역량, 관리역량, 직무공통역량, 직무전문

역량 등으로의 구분은 미흡한 상황으로 직급별‧직종별 맞춤형 역량을 도출하

고 이에 따른 교육 전문화 계획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지방공기업평가원 컨설팅 제도를 통해 직무에 따른 경로 설계에 따라 

직급별‧역량별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할  예정으로  내년도  역량모델링에  따른 

교육훈련계획 수립을 기대하여 봄

- 교육훈련 독려를 위해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 시, 교육훈련 기본시간 미이수

자는  승진  임용에서  제외하고  있는  상황임.  다만,  승진후보자  작성  시점이 

아닌 내부성과평가와의 연계성은 확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부서 

KPI 내에 교육이수율 지표배점을 부여함으로써 교육 및 인사상 연계성을 강

화할 필요가 있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전년도 성과관리체계의 고도화 의견에 따라 2022년 성과관리체계 시범운영, 

2023년 BSC 성과관리체계 신규 실행이 이루어짐

2023년

추진

실적

- 부서별 책임경영을 위해 부서 업적평가 및 개인 역량평가를 합산하여 운영 

중이며 부서  업적평가 KPI는  전략체계의 경영목표와  연계되어 운영하는 등

대내외 환경변화 및 민선8기 도정방향을 반영한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력 있는 성과관리체계 구축 노력이 이루어짐

- 전략목표 홍보 강화 추진을 위한 핵심성공요인(CSF) 도출을 통한 목표 달성

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였고, 해당 중점 사업을 이행하기 위한 부서별 핵심성

과지표(KPI)를 도출함으로써 부서별 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 체계를 구축함

- 신규 도입한 성과관리제도는 팀원의 경우 업적평가 50%, 역량평가 50%로 운

영되고 있으며 팀장 이상의 관리직은 업적평가 60%, 역량평가 40%로 반영하

여 직위별 역할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임

- 현재는  평가  결과를  개인의  인사고과에는  반영하지  않고  성과급  지급에만 

차등하여 반영하는 형태로 운영 중인 상황임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49  -

 ⑤ 양성평등을 위한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성과평가 결과를 보상체계와 연계 시에는 보수(기본연봉 차등 인상, 경영평

가 성과급 차등 지급 등)에 연계되는 평가는 업적평가만을, 승진 시에 연계

되는 평가는 업적 및 역량평가 모두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 승진제도 운영 시 근무평정 점수 65%, 경력평정 점수 20%, 기타 포상 및 창

의제안 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황으로 성과중심 보상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2023년

추진

실적

- 육아휴직자에 대한 인사상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 및 지침의 개정, 지

속적 양성평등을 위한 활동 등이 전반적으로 적정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음

- 2023년  재단  직원  대상  성인지  관점  향상을  통해  일상과  공적  영역에서의 

양성평등 의식 제고 노력 일환으로 내부 교육을 추진함

- 또한, 성평등 공감대 형성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양성평등 주간 기념행

사를 추진하고 문화예술형 성평등 인식 확산 사업을 위해 연극공연을 추진, 

도민공감형 행사를 개최한 성과가 있음

- 기관의 여성 임원 비율은 20%, 관리자 비율은 50% 수준으로 매우 높은 수준

의 여성 임원 및 관리자 비중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지속적인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 개선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퇴사율은 감

소하고 있는 추세로 2023년 기혼여성 근로자의 퇴사율은 0%임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0  -

2)  지원기능  인력  비율

■ 평가결과

◯ 지원기능 인력 비율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기관은 정원 32명 대비 지원기능 인력규모 6명으로 정원 대비 지원기능인력 비중이 18.75% 수

준으로 나타나 기준(25% 이하) 대비 적정수준으로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당해 기관의 정원 대비 지원기능을 담당하는 인력 비율이 효율적으로 구성

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실적점검

정원

32명

지원기능 인력규모

6명

지원기능 인력비중

18.75%

3)  관리직  인력  비율

■ 평가결과

◯ 관리직 인력 비율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

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기관은 정원 32명 대비 관리직 인력규모 6명으로 정원 대비 관리직 인력 비중이 18.75% 수준으

로 나타나 기준(20% 이하) 대비 적정수준으로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당해  기관의  정원  대비  관리직(팀장급  이상)  비율이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실적점검

정원

32명

관리직 인력규모

6명

관리직 인력비중

18.75%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1  -

4)  외부전문가  구성  및  참여율

■ 평가결과

◯ 외부전문가 구성 및 참여율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

으로 달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외부전문가 구성비율(0.5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5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고, 

외부전문가 참여비율(0.5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5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당해기관의  인사위원회에  외부전문가의  구성비율  및  참여  현황을  측정하

여 위원회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외부전문가 구성비율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50점

80.00%

0.50점

구간설정

50% 이상

40% 이상

30% 이상

20% 이상

20% 미만

0.50점

0.40점

0.30점

0.20점

0.10점

② 외부전문가 참여비율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50점

100.00%

0.50점

구간설정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60% 미만

0.50점

0.40점

0.30점

0.20점

0.1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2  -

5)  임직원  교육실적

■ 평가결과

◯ 임직원 교육실적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성

수준 100.00%로 나타남

- 임직원 외부교육 실적(0.4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40점으로 98.20% 실적을 기록하였고, 

임직원 내부교육 실적(0.4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4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

으며, 필수 직무교육 이수실적(0.1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1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고, 법정교육 의무 이수실적(0.1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10점으로 100.00% 실

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외·내부 교육실적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임직원 외부교육 실적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40점

98.20%

0.40점

구간설정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60% 미만

0.40점

0.30점

0.20점

0.10점

0.00점

② 임직원 내부교육 실적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40점

100.00%

0.40점

구간설정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60% 미만

0.40점

0.30점

0.20점

0.10점

0.00점

③ 필수 직무교육 이수실적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10점

2명

0.10점

교육 대상인원

(예산, 회계 담당자)

100% 이상

100% 미만

2명

0.10점

0.00점

④ 법정교육 의무 이수실적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10점

33명

0.10점

교육 대상인원

(2개월 이상 근무인원)

100% 이상

100% 미만

33명

0.10점

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3  -

6)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

■ 평가결과

◯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는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

로 달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기관은 입사지원서 인적사항을 미요구하여 0.50점을 획득하였고, 블라인드 면접 시 면접위원

에게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미제공하고 면접관 사전 교육을 실시하여 0.50점을 획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당해기관의  인사위원회에  외부전문가의  구성비율  및  참여  현황을  측정하

여 위원회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입사지원서 인적사항 요구 금지 여부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50점

미요구

0.50점

구분

미요구

1개 요구

2개 요구

3개 요구

4개 요구

5개 요구

점수

0.50점

0.40점

0.30점

0.20점

0.10점

0.00점

② 블라인드 면접 실시 여부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50점

미제공/실시

0.50점

②-1.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사항 정보 제공 금지 여부

구분

미제공

제공

점수

0.25점

0.00점

②-2. 면접관 사전 교육 여부

구분

교육 실시

교육 미실시

점수

0.25점

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4  -

7)  재정·예산관리  적정성

■ 평가결과

◯ 재정·예산관리 적정성은 전체 7.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5.75점으

로 달성수준 82.14%로 나타남

- 재정계획의 적정성(3.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2.55점을 득점하였

고, 예산운용 및 집행의 적정성(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1.70점을 

득점하였으며,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2.00점)에 대한 기

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1.50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재무·예산관리의 적정성을 평

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7.00점

득점

5.75점

달성수준

82.14%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재정계획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3.00점

2등급

2.55점

② 예산운용 및 집행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1.70점

③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3등급

1.50점

■ 세부 평가내용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총괄

지표

개선

의견

-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재무·예산관리의  적정성을  평가

한 결과, 전년도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 노력은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기관의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자체수입 확보 방안 등은 미흡한 것으로 평

가할 수 있어 아래와 같은 재무 및 예산관리 영역에 대한 개선과제를 부여함

- (개선과제)

① 사업성과 분석을 통한 재정계획 내 추세분석의 신뢰성 확보

② 국도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액 확보를 위한 

상품 기획력 강화, 공기관 대행사업 수수료 확보 등 자체수입 확보 방안 강구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5  -

 ① 재정계획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기관의 세입 전망(연평균 4.9% 증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부재하며 지속적인 

도  출연금,  위탁사업의  증가만을  제시하고  있는  등  재정계획에  대한  근거가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재정여건 및 추세분석을 통한 재정운영 방향을 

재설정함

- 재설정한  중기재정계획  내  연평균  성장률은  7.6%로  설정되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성장된 과거 재단 예산규모의 연평균 성장률 7.6%를 반영한 결과임

- 다만, 연평균 성장률을 설정한 근거 등이 지속 미흡한 상황으로 재정여건 및 

추세분석 상황의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기 어려움

2023년

추진

실적

- 재정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있는 상황이나, 사업성과 분석이나 도 정책 등 환

경분석이 반영된 사업계획이 연동되어 계획이 이루어지지는 못한 상황임

- 2023년 기관의 재정계획 기본계획은 자체수입 극대화, 효율적 재정 운용, 재정

건전화로 뮤지엄샵의 수입 증대, 집행실적 점검을 통한 부진사업 예산 삭감, 

대행사업 집행률 극대화, 당기운영 차익 증가 등의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함

- 다만,  23년도  핵심사업과  관련한  도정책  요구사항은  추가진상조사(출연금  사

업), 유해발굴(대행사업)으로 확인되나, 해당 사업의 성과가 예산 반영 성과로 

연계되지는 않음

- 추가진상조사의 경우 22년 대비 23년 4억 증가, 유해발굴 사업 예산은 유지되

었으나 도 최초 수형인 희생자 유골 발견 성과가 있었음. 성과 도출에도 불구

하고 24년 추가 예산의 증액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상황임

- 중기재정계획  및  당해연도  예산과의  연동화  수준  분석  결과,  연동화  수준은 

96.97%로 나타나며 재정계획 대비 오차범위 3.03%로 2023년의 재정계획은 적

정 추세 분석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됨

 ② 예산운용 및 집행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 전사 측면에서 조직, 인력, 예산의 변화를 반영한 예산편성 추진이 필요하다

는 전년도 의견과 관련하여 조직 및 인력 운영방향과 연계한 예산편성 검토 

노력은 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확인됨

- 또한, 집행률 차이 분석 및 사후관리를 통한 집행률에 대한 세부 점검 기준을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6  -

 ③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재정건전성 확보(자체수입 확보 등)를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노력

마련하라는  의견에도  재정집행률  목표는  경영평가  편람상  95%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분기별  별도로  설정되어있는  재정집행률  목표는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2023년

추진

실적

- 연도별 재정집행률 95%를 기준으로, 집행률은 96.90%로 매우 높은 상황이며 

전년 대비 집행률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

- 집행률 관리를 위해 매월 예산집행 점검 회의 시, 집행 수준을 함께 점검하

고 있으나, 별도 재정집행률 관리를 위해 전체 부서 공통 KPI로 연계하여 점

검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됨

- 분야별 재정집행률 점검 결과, 일반회계 집행률 96.57%, 4‧3평화공원 특별회

계  집행률  99.92%,  뮤지엄샵  특별회계  92.74%로  뮤지엄샵  특별회계를  제외

하고 전반적으로 높은 재정집행률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임

- 분기별 집행률 점검 결과, 예산 편성 및 집행이 4분기에 집중되어 있고 4분

기 집행잔액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분기별 재정집행률 통제를 통한 예산집

행 상황에 대한 지속적 점검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전년도

지적에 

따른 

개선

노력

- 사업  단위별  성과분석은  기본적  수준에서  추진하고  있지는  못하는  상황으로 

주요사업별 단순 출연금 및 사업 수익 증가만을 관리하고 있어 사업 평가결

과를 차년도 사업 및 예산편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환류체계를 강화하고, 집

행실적 및 결산분석에 대한 관리, 환류활동 강화를 통해 재무 건전성의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과  관련하여  사업성과  분석을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

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평가함

- 다만, 미래 위험에 대한 환경분석, 부채 및 유동성 관리를 통해 연도별 집행

액 축소 등의 노력을 추진함

2023년

추진

실적

-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여유자금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이자수익 확대, 자체

수입 확대를 위한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 노력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임

- 이자수익의 경우, 도 지정금고 및 기타 은행 간 금리 비교를 통해 유휴자금의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고 있으며,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를 위한 상품 개발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7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다만,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금액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고, 기부금 수입도 감

소하는  등  국도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뮤지엄샵  기념품  판매액 

확보를 위한 상품 기획력 강화, 공기관 대행사업 수수료 확보, 지속적 공기관 

대행사업의 출연사업 전환 등을 위하여 도와의 지속 협의 등을 추진할 필요

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국도비에 대한 의존도를 지속 축소해 나갈 필요가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8  -

8)  사업수행  효율성

■ 평가결과

◯ 사업수행 효율성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96점으로 달성

수준 96.00%로 나타남

- 사업수행 효율성(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96점으로 209.96백만원의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재무구조  확립을  도모하기  위해  효율적  사업수행운영 

노력과 성과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0.96점

달성수준

96.00%

세부 평가결과

2020년 실적(a)

2021년 실적(b)

2022년 실적(c)

2023년 실적(d)

194.97백만원

196.41백만원

194.37백만원

209.96백만원

기준치(e=(a+b+c)/3)

최고목표(e*110%)

최저목표(e*50%)

달성도

195.25백만원

214.78백만원

97.63백만원

95.89%

달성도 득점

전체 득점

0.96점

0.96점

9)  자체수입률

■ 평가결과

◯ 자체수입률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자체수입률(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26.05%의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기관이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재정자립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당해기

관의 총수입액 중에서 자체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정한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세부 평가결과

2020년 실적(a)

2021년 실적(b)

2022년 실적(c)

2023년 실적(d)

21.60%

24.75%

23.67%

26.05%

기준치(e=(a+b+c)/3)

최고목표(e*110%)

최저목표(e*50%)

달성도

23.34%

25.67%

11.67%

102.66%

달성도 득점

전체 득점

1.00점

1.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59  -

10)  일반관리비  충당률

■ 평가결과

◯ 일반관리비 충당률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

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일반관리비 충당률(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145.94%의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기관의 자체수입이 행정운영경비를 충

당하는 일반관리비 충당률이 합리적으로 운영되는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세부 평가결과

2020년 실적(a)

2021년 실적(b)

2022년 실적(c)

2023년 실적(d)

108.90%

132.79%

139.70%

145.94%

기준치(e=(a+b+c)/3)

최고목표(e*110%)

최저목표(e*50%)

달성도

127.13%

139.84%

63.57%

107.99%

달성도 득점

전체 득점

1.00점

1.00점

11)  재정집행률

■ 평가결과

◯ 재정집행률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달성수준 

100.00%로 나타남

- 재정집행률(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96.90%의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예산편성의 적절성, 예산집행의 투명성 및 효율성 정도의 평가를 위하여 기

관 재정집행률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100.00%

세부 평가결과

실 집행액

예산현액

2023년 실적

12,345,978천원

12,740,372천원

96.90%

구분

95% 이상

92.5%이상

~95%미만

90%이상~

92.5%미만

87.5%이상

~90%미만

85%이상~

87.5%미만

85%미만

평점

1.00점

0.80점

0.60점

0.40점

0.20점

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0  -

12)  조달계약  실적

■ 평가결과

◯ 조달계약 실적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48점으로 달성수준 

48.00%로 나타남

- 조달계약 실적(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48점으로 19.54%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기관의  전체  계약금액  중  조달청에서  계약한  금액(조달청을  통한  수의

계약 포함)의 비중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0.48점

달성수준

48.00%

세부 평가결과

2020년 실적(a)

2021년 실적(b)

2022년 실적(c)

2023년 실적(d)

19.69%

38.45%

16.52%

19.54%

기준치(e=(a+b+c)/3)

최고목표(e*110%)

최저목표(e*50%)

달성도

24.89%

27.38%

12.44%

47.51%

달성도 득점

전체 득점

0.48점

0.48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1  -

13)  인건비  인상률  준수

■ 평가결과

◯ 인건비 인상률 준수는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2.00점으로 달성

수준 100.00%로 나타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총인건비 인상률 준수 여부를 실집행액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Ÿ 정책인상률 준수와 자연증가분 준수를 구분하여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00점

득점

2.00점

달성수준

10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23년도 총인건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1.00점

100.00%

1.00점

 ② 22년도 총인건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60점

100.00%

0.60점

 ③ 21년도 총인건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평가방법

배점

실적

득점

계량평가

0.40점

100.00%

0.40점

■ 세부 평가내용

구분

2022년

2023년

증가율

전체 총인건비

588,683,650

584,626,520

총인건비 제외 금액 (B=C+D+E+F+G-H)

8,951,600

16,231,522

정부정책 준수 소요인건비(C=가+나+다+라)

최저임금 기준 충족 임금인상액(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인건비(나)
시간선택제 추가인건비(다)
연구수당, 진료성과급, 직무발명보상급(해당기관)(라)

행정안전부 보완지침 제외사항(D=마+바+사)

8,951,600

10,997,740

가족수당(마)

8,951,600

10,997,740

자녀학비 보조수당(바)
영유아보육비(사)

통상임금 소송에 따른 급여증가액(E)

소송결과에 따른 해당년도 기관부담 증가액(E)

자연증가 소요분(F)
* 호봉승급 등 인위적인 급여테이블의 조정없이 증가된 

자연증가 소요분은 모두 인정

N/A

5,233,782

지방자치단체 인정 증가분(G)
전년도 총인건비 위배액 차감분(H) 

인건비 인상률 점검

2022년

2023년

증가율

정책인상률 적용 인건비 인상액(H=A-B)

579,732,050

568,394,998

기관 실제 총액인건비 인상액

573,628,780

최대 총액인건비 인상 가능 금액

596,579,096

총인건비 인상률 점검결과

총액인건비 준수

자연증가분 준수여부

자연증가분 인상률

준수

준수

1.05%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2  -

- 23년도  총인건비는  정책인상률과  자연증가분을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2개년  만근자의 

실집행액을 기준으로 총액인건비 인상액 준수여부와 자연증가분 인상률 준수여부로 평가함 

- 기관은 호봉제 운영기관으로 총액인건비 인상, 자연증가분 인상률 모두 적정하게 인상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총 2.00점으로 평가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3  -

14)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

■ 평가결과

◯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50점으로 

달성수준 50.00%로 나타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경영평가 성과급의 운영이 정부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1.00점

득점

0.50점

달성수준

50.00%

세부 평가결과

등급구분 기준

4등급

준수여부

준수

4등급 이상

등급배분(최고등급)

20.83%

준수여부 미준수

20% 이내

등급배분(최저등급)

10.42%

준수여부

준수

10% 이상

최고-최저 등급간 

지급률 차등

64.00%

준수여부

준수

50% 이상

연봉/호봉에 따른 

기준액 기준

호봉제

(기본급+비속인적수당)

준수여부

준수

호봉제

성과급 지급액

준수

준수여부

준수

Ceiling 범위 내

- 기관은  호봉제  운영기관으로  경영평가성과급  지급기준의  기준재원  산출방식은  기본급과 

비속인적수당 합산액의 월액으로 적정하게 구성함

- 최저등급  인원배분율  10.42%로  행안부 지침(최저등급 인원 배분율 10% 이상)을 준수하였으며, 

최고등급과 최저등급 간 지급폭 50% 이상 구성, 최종 지급액은 지급가능 총액(Ceiling) 범

위 내 실지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최고등급 인원배분율 20.83%로 행안부 지

침(최고등급 인원 배분율 20% 이내)을 준수하지 못한 상황으로 총점 0.50점으로 평가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4  -

15)  홍보의  적정성  및  달성성과

■ 평가결과

◯ 홍보의 적정성 및 달성성과는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2.51점

으로 83.67%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홍보계획 및 실행 노력의 적정성(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1.70점을 득

점하였고, 홍보실적(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실적 81.02% 달성으로 0.81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혼합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목표부여

평가정의

Ÿ 홍보채널(홈페이지, SNS 등) 다양화, 홍보활동의 확대 등 기관 및 사업 홍

보를 위한 활동의 다각화 및 적정성을 평가한다.

Ÿ 홍보의 방법 및 통로가 기관의 미션 및 고유사업의 목표달성을 촉진하기에 

적절한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3.00점

득점

2.51점

달성수준

83.67%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홍보계획 및 실행 노력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2.00점

2등급

1.70점

② 홍보실적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1.00점

81.02%

0.81점

■ 세부 평가내용

 ① 홍보계획 및 실행 노력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4‧3 희생자 및 유족의 가족관계 명예 회복, 보상금 지급 홍보, 4‧3의 정의로

운 해결을 위한 진상규명 등 민선8기 도정과제와 연계하여 2023년 재단 기

관지 ‘4‧3과 평화’를 발간함

- 해당 발간지에는 가족관계 불일치 사례 접수 기사 수록, 4‧3희생자 및 유족 

증언 인터뷰, 보상금 지급 및 군사재판 수형인 찾기 등의 기사를 게재함

- 전년도 기관의 홍보 전략 수립, 홍보 채널의 세분화가 미흡하다는 지적사항

을 개선하기 위해 연령별 주요 이용 매체에 대한 분석 및 매체별 특성을 반

영한 홍보 전략을 수립한 성과가 있음

- 그러나 제시한 홍보 계획에는 홍보 채널별 홍보 대상 사업만이 제시되어 있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5  -

 ② 홍보실적

- 홍보실적은 전체 1.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81점으로 81.02% 수준의 달성

수준으로 파악됨

2020년 실적(a)

2021년 실적(b)

2022년 실적(c)

2023년 실적(d)

3,187건

3,519건

3,321건

3,296건

기준치(e=(a+b+c)/3)

최고목표(e*110%)

최저목표(e*50%)

달성도

3,342건

3,677건

1,671건

81.02%

달성도 득점

전체 득점

0.81점

0.81점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을  뿐,  실질적인  홍보  전략은  부재한  상황으로  민선8기  도정방향과  연계한 

기관의 고유사업 운영방향이 도내 확산될 수 있도록 홍보활동 추진 전략(시

스템 운영 방안, 콘텐츠 발굴 및 확산 등)과 전략별 추진과제 수립이 요구됨

- 기관의 홍보활동은 4‧3에 대한 왜곡대응 사업추진 계획의 기자회견, 4‧3현안 

이슈 중심 심층 보도 등 4‧3에 대한 심층적 토론 등에 집중되어 있고, 동백

서포터즈 운영 외 4‧3 가치의 세대 전승을 위한 노력은 다소 미흡하게 나타남

- 특히, 젊은 세대에 접근할 수 있는 홍보 채널 및 보도자료를 보다 강화하여

전 연령, 전 국민을 대상으로 4‧3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

- 또한, 최근 4‧3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사업(기록문화유산 등재사업) 추진으로 

23년  동아시아  내  통과,  최종  선정을  기다리고  있는  등  4‧3의  세계화  관련 

성과가 도출되고 있는 상황으로 민선 8기 도정 방향과 연계하여 기관의 우

수 성과에 대해 홍보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잘된 

사항

- 민선8기 도정과제와 연계하여 2023년 재단 기관지 ‘4‧3과 평화’를 발간함

미흡한 

사항

- 4‧3 세대 전승을 위한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홍보 활동이 다소 부족한 것으

로 보임

- 4‧3  세계화와  관련  유네스코  등재사업(기록문화유산  등재사업)  추진이  순항

하고 있음에도 관련 홍보 활동은 미흡한 상황임

개선

의견

- 4‧3 세계화, 가치 전승 등 기관의 주요 목표와 관련하여 도출된 기관의 우수 

성과에 대한 홍보 전략 마련 및 활발한 홍보 활동이 요구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6  -

4

  일자리  확대  영역  평가결과

4-1  영역 평가결과 종합

■ 일자리 확대 영역 평가결과

◯ 일자리 확대 영역은 전체 4.00점의 배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경우 전체 4.00점 

중 3.50점을 획득함

◯ 일자리 확대 영역은 비계량 평가지표와 계량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량 평가지표의 가

중치가 2.00점, 계량지표의 가중치는 2.00점임. 기관은 비계량 평가결과 배점 2.00점 중 1.60
점, 계량지표 평가결과 배점 2.00점 중 가점을 포함하여 1.90점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등급

평점

득점

Ⅰ. 경영관리(일자리 확대)

-

4.00점

-

-

3.50점

Ⅰ-1. 일자리 확대

4.00점

-

-

3.50점

1.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

혼합평가

4.00점

-

-

3.50점

1-1.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1-2. 2023년 제주도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계량평가

2.00점

-

-

1.90점

1-3. 근로환경 개선 노력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75.00점

0.75점

합계

-

4.00점

-

-

3.5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7  -

4-2  일자리 확대 세부 평가결과

1)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

■ 평가결과

◯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은 전체 4.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3.50

점으로 달성수준 87.50%로 파악됨

-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1.00점)은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고, 2023년 제주도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2.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90점을 득점하였으며, 근로환경 

개선 노력(1.00점)은 3등급(75.00점)으로 0.75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혼합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및 실적을 평가한다
Ÿ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관 노력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4.00점

득점

3.50점

달성수준

87.5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② 2023년 제주도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2.00점

-

1.90점

③ 근로환경 개선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0.75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목표의 수립, 신규 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 등의 주도적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

- 일자리 창출에 대한 내부여건과 외부환경분석을 통해 전략점 시사점을 도출하고 

비전과 전략,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를 

마련하는 등 일자리 대책 연차별 세부계획 수립을 통해 PDCA관점에서 구체적

인 이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특히 공공일자리, 민간고용 유발 효과에 대한 분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8  -

 ② 2023년 제주도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

- 2023년 제주도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은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道 일자리과의 일

자리 창출 실적 평가결과를 반영한 결과

 95.00% 실적으로 1.90점 득점한 것으로 파악됨

평가방법

득점

道  일자리과 일자리 창출 실적 평가 결과 반영

1.90점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석을 통한 기관의 주도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과 목표설정이 필요함

- 대학생  현장실습,  공공문화예술공간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참여,  도  일경험 

프로그램 참여 등 지역 일자리 사업과 연계하고자 노력함

- 4.3추가진상조사단, 4.3트라우마센터 등 민선8기의 도정방향과 연계하여 추진되

는 사업을 통해 기간제 근로자와 비상임연구원에 대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

- 도와 협의된 4.3 유족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기관이 추구하는 4·3정신의 세계화 

관점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성과들이 다양하게 발굴되어야 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직접 일자리 창출과 간접 일자리 창출 등 기관이 달성가능한 일자리 창출 목표

를 수립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신규 일자리 창출에 다양한 접근 노력

이 요구됨

- 도와 협의된 4.3 유족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기관이 추구하는 4·3정신의 세계

화 관점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성과들이 다양하게 발굴되어야 함

개선

의견

-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달성가능한 추진과제와 정량적인 달성목표를 수립하고 중

장기 측면의 로드맵을 제시하는 등 정부의 일자리 정책연계와 신규 일자리 창

출을 위한 구체적 이행방안을 마련하여야 함

- 후손들에 대한 일자리 지원, 전문인력 양성 교육 등 4·3정신의 세계화 관점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에 대한 다각적 접근이 요구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69  -

 ③ 근로환경 개선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근무제도, 가족친화문화조성, 직원복지제도 지원 등 일/

쉼/삶 측면에서의 운영방향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직원 맞춤형 복지제도 운영규칙과 인사관리 규정에 대한 제개정을 통해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함

- 시차출퇴근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신청절차 간소화를 통해 사용률 확대 노력이 

인정됨. 다만 유연근무제 운영지침 마련을 마련하여 세부 운영사항에 대한 기

준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연차촉진제를 운영하면서 연차 당겨쓰기 제도를 통해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음

- 노사협의회 운영을 통해 근로자들의 의견수렴으로 직원친화적인 복지환경을 마

련하고자 노력함

- 내부고객만족도 결과를 활용하여 일자리 질 개선 측면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임금 만족도(66.0점), 인사승진 만족도(70.3점), 복

리후생만족도(72.5점)  3가지  하위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과  개선과제를 

발굴하고 소통을 통해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여야 함

잘된 

사항

- 2020년부터 공무직 대상의 성과상여금을 지급하고 제수당 및 복무제도에 대한 

동일적용을 원칙으로 운영하고 있음

미흡한 

사항

- 인사승진, 복리후생 등 내부 만족도 낮은 항목에 대한 세부적인 이유를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개선

의견

- 내부 만족도 결과를 활용한 개선과제와 환류노력이 요구되며, 특히 만족도 하위 

영역에 대한 세부내용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소통 노력을 확대하여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0  -

5

  사회적  가치  영역  평가결과

5-1  영역 평가결과 종합

■ 사회적 가치 영역 평가결과

◯ 사회적 가치 영역은 전체 10.00점의 배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경우 전체 10.00점 

중 4.55점을 획득함

◯ 사회적 가치 영역은 비계량 평가지표와 계량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량 평가지표의 가

중치가 8.30점, 계량지표의 가중치는 1.70점임. 기관은 비계량 평가결과 배점 8.30점 중 6.55
점, 계량지표 평가결과 배점 1.70점 중 가감점을 포함하여 –2.00점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등급

평점

득점

Ⅰ. 경영관리(사회적 가치)

-

10.00점

-

-

4.55점

Ⅰ-1. 사회적 책임

10.00점

-

-

4.55점

1. 비위 발생여부

계량평가

(감점)

-

-

-2.50점

2 윤리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

-

1.50점

2-1. 윤리경영시스템의 운영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75.00점

0.75점

2-2. 부패방지와 청렴을 위한 노력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75.00점

0.75점

3. 인권경영

비계량평가

2.00점

-

-

1.50점

3-1. 인권경영 체계 구축의 노력과 성과

비계량평가

0.60점

3등급

75.00점

0.45점

3-2. 인권경영(사업)의 실행·공개 노력과

성과 및 구제절차 제도화의 타당성

비계량평가

0.60점

3등급

75.00점

0.45점

3-3.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과 성과

비계량평가

0.80점

3등급

75.00점

0.60점

4. 재난·안전 관리

비계량평가

2.00점

-

-

1.62점

4-1. 재난·안전 체계 구축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0.60점

2등급

85.00점

0.51점

4-2.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직원 대응력 제고 비계량평가

0.60점

2등급

85.00점

0.51점

4-3. 재난·안전 체계 운영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0.80점

3등급

75.00점

0.60점

5. 지역상생 발전

혼합평가

3.00점

-

-

2.70점

5-1. 지역경제 공헌 및 공익사업 추진 실적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5-2. 사회적 약자 관리시스템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85.00점

0.85점

5-3. 중증장애인 생산품 및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 구매실적

계량평가

1.00점

-

-

1.00점

6.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

계량평가

(가감점)

-

-

-1.00점

7. 친환경 경영

혼합평가

0.30점

-

-

0.23점

7-1. 플라스틱 줄이기 실천 노력

비계량평가

0.30점

3등급

75.00점

0.23점

7-2. 탄소중립정책 이행 및 노력

비계량평가 (가점0.3점)

-

-

0.00점

8.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

계량평가

0.40점

-

-

0.20점

8-1.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기준에 따른 
공시항목, 자료입력기한 준수여부

계량평가

0.20점

-

-

0.20점

8-2. ESG 경영선도 관련 통합공시 기준 

개정사항 준수여부

계량평가

0.20점

-

-

0.00점

9. 정보보안관리 운영기준 준수

계량평가

0.30점

-

-

0.30점

9-1. 정보 보안 관리·운영 노력의 적정성

계량평가

0.30점

-

-

0.30점

합계

-

10.00점

-

-

4.55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1  -

5-2  사회적 책임 세부 평가결과

1) 비위 발생여부

■ 평가결과

◯ 비위 발생여부 지표는 누적 감점 지표로, 기관의 경우 2.50점 감점 발생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

평가정의

Ÿ 임직원의 비위ž부패 발생으로 처분 및 지적을 받은 기관에 대하여는 감점

을 부여한다.

Ÿ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3대 비리(채용비리, 금품비위, 성범죄)에 대해

서는 별도로 추가 감점을 부여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감점)

득점

-2.50점

달성수준

-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비위 발생 여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감점)

-

-2.5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비위 발생 여부

- 비위 발생 여부 평가는 외부감사(감사위원회, 도의회, 중앙부처, 감사원 등)의 감사결과를 반영하여 

평가한 결과, 기관은 2.50점 감점되는 것으로 확인됨

감점대상

감점
점수

비고

채용비리특감

종합감사

기타

경고 1
주의 5

경고 1
주의 5

-2.50점

-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2  -

2) 윤리경영

■ 평가결과

◯ 윤리경영은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50점으로 달성수준 

75.00%로 파악됨

- 윤리경영시스템 운영의 적절성(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75점을 득

점하였고, 부패방지와 청렴을 위한 노력(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75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윤리경영 및 내부감사시스템 운영의 적정성 등에 대해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00점

득점

1.50점

달성수준

75.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윤리경영시스템 운영의 적절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0.75점

② 부패방지와 청렴을 위한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3등급

0.75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윤리경영시스템 운영의 적절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내부 규정 및 자체 감사계획에 따른 내부 직원 공직기강 확립 노력이 있으나, 

감사운영의 목적 및 방향, 감사조직, 전년도 감사운영사항에 대한 개선사항과 

당해연도 반영 노력 등이 자체감사 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함

- 임직원  행동강령,  윤리경영담당관  지정(총무팀장),  청탁금지담당관  지정(총무팀

장), 윤리교육을 통한 부패행위 근절, 클린신고센터 운영 등을 통해 윤리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노력함

- 정관 제18조의 규정에 따라 감사규정을 제정하고(자체감사에 관한 기준과 절차 

등 마련) 객관적·합법성 위주 의견제시를 통해 불필요한 예산집행 및 민원발

생이 사전 차단될 수 있도록  노력함. 또한  내외부 사업 등에 대한 위험요소 

항목 점검을 추진하였으며, 자체감사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자 노력함

-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 종합감사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를 적정한 이행 노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3  -

 ② 부패방지와 청렴을 위한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력이 인정됨

- 윤리경영 실현을 위한 비전 및 추진계획이 부재하여, 이행계획과 점검·환류체

계를 구축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음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내부 감사 운영을 통한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차년도 감사전략을 수립

하는 등 환류 중심의 내부 감사 운영체계가 고도화되어야 함

개선

의견

- 감사운영의  목적  및  방향,  감사조직,  전년도  감사운영사항에  대한  개선사항과 

당해연도 반영 노력 등이 자체감사 계획수립 시 포함되어야 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상하반기  각각  외부강사  초청  청렴부패방지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해충돌방

지법과 청탁금지법에 대한 담당자 설명회 참석 노력이 인정됨

- 수의계약 제한에 관한 지침 제정으로 공사 및 용역 계약(연 3회 또는 누적금액 

6천만원 초과), 물품제조 및 구매계약(연 5회 또는 누적금액 5천만원 초과)에 대

한 내부 기준을 마련함

-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고충상담원 지정 및 교육 참

석 노력이 인정됨. 특히 여성가족부에 의뢰하여 성희롱·성폭력 방지 조직문화 

진단을 실시하고 개선권고 사항에 따른 이행을 통해 내부 예방 수준을 높이고

자 노력한 부분이 긍정적임

- 음주운전 및 성희롱·성폭력 비위자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을 마련하는 등 비위

자에 대한 인사운영 기준 마련함

잘된 

사항

- 성희롱·성폭력 방지 조직문화 진단을 실시하고 개선권고 사항에 따른 이행을 

통해 내부 예방 수준을 높이고자 노력함이 긍정적임

미흡한 

사항

- 부패예방을 위한 기관의 청렴의식 제고와 이해관계자의 참여 독려를 위한 홍보 

노력이 다소 부진함

개선

의견

- 부패예방을 위한 기관의 청렴의식 제고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공유 및 홍보 노력이 확대되어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4  -

3) 인권경영

■ 평가결과

◯ 인권경영은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50점으로 75.00% 수준

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인권경영 체계 구축의 노력과 성과(0.6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45

점을 득점하였고, 인권경영(사업)의 실행·공개 노력과 성과 및 구제절차 제도화의 타당성(0.60

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45점을 득점하였으며, 공정사회 구현을 위

한 노력과 성과(0.80점)에 대해 기관은 3등급(75.00점)으로 0.60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임직원,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주민 등 기관 내·외부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를 향상하고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인권경영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를 평

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00점

득점

1.50점

달성수준

75.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인권경영 체계 구축의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60점

3등급

0.45점

② 인권경영(사업)의 실행·공개 노력과 성과 및 구제절차 제도화의 타당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60점

3등급

0.45점

③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80점

3등급

0.6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인권경영 체계 구축의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인권경영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사회적 추진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추진체계의 구

체성,  로드맵의  부재,  세부  이행계획과  점검·환류체계의  미흡  등이  확인됨에 

따라 관련한 보완 노력이 요구됨

- 인권경영위원회는 외부위원 2인, 내부위원 3인(사무처장, 총무팀장, 노사협의회 

근로자대표)으로  구성하여  인권영향평가,  인권경영계획,  인권경영헌장에  대한 

심의를 추진하였으나 객관적 성과점검을 위해서는 과반이상의 외부위원을 위촉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5  -

 ② 인권경영(사업)의 실행·공개 노력과 성과 및 구제절차 제도화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하여 운영하여야 함

- 인권영향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및 인권경영위원회를 통한 개선 성과가 긍정적임. 

인권경영 환경분석 및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대성 평가과정을 추가하였으

며, 인권영향평가에 대한 설계와 개선과제 도출까지의 과정이 적정하게 진행됨

- 기관의 인권경영과 관련하여 부서,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주민 등 대내외 공유 

및 홍보 확대 필요함

잘된 

사항

- 인권영향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및 인권경영위원회를 통한 개선 성과가 긍정적임

미흡한 

사항

- 내부 임직원 대상의 인권교육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됨

- 기관의 인권경영과 관련하여 부서,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주민 등 대내외 공유 

및 홍보 활동을 확인하기 어려움

개선

의견

- 인권경영의 내재화를 위해 인권경영 도입 및 시스템에 대한 교육, 인간의 존엄

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권에 대한 본질적인 인문학적 교육 등 다양화 인권교육

을 추진하여야 함

- 기관의 인권경영과 관련하여 부서,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주민 등 대내외 공유

활동을 통한 홍보 확대 노력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인권경영헌장,  인권경영규정,  인권경영  추진체계,  인권침해  구제절차를  홈페이

지에 게시하여 기관의 인권경영 의지를 표명하고 공개하고자 노력함

- 총무팀을 중심으로 인권침해 구제기구를 마련하고 인권침해행위의 신고 및 접수→

인권침해행위의 조사→위원회 심의→조사결과 처리에 따른 인권침해 구제절차를 

마련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공유한 실적이 있음

- 인권경영헌장과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전 직원과 공유하여 기관의 인권리스크 발굴 

및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인권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6  -

 ③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과 성과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미흡한 

사항

- 기관의 인권보호 노력 및 성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최종보고서를 작성 및 공개

하여야 함

개선

의견

- 인권경영  체제,  인권실태조사,  인권영향평가,  부정적  인권영향  방지조치  수립, 

사업 실행, 개선사항 등 인권경영 추진과정에 대한 최종보고서 작성이 요구됨

- 일반대중을 상대로 기관의 인권보호 노력 및 성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최종보고

서의 공개 추진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계약체결 시 나라장터에서 부정당업자 제재를 확인하여 거래대상에서 제외하고 

협력회사와 계약 시 계약서류에 청렴이행서약서 등 인권침해방지 조항을 두고 

있음. 다만 공공기관 모범거래모델 도입을 위한 검토 및 개선방안에 대한 마련

이 필요함

- 이해관계자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저작권 양도협의서, 자료기증서, 세부협약

서를 통한 동의를 얻는 등 고객권익 보호를 위한 활동을 추진함

- 일경험  프로그램  참여와  고령자  및  장애인  고용에  균등한  기회를  조성하고자 

노력함

- 기회균등 측면에서 차별 없는 인사 운영 및 직종 차별 없는 인사/교육관리, 채용

절차 공정화 및 휴직기간 근속 인정 등 내부 경영환경에 대한 성과 발굴 필요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갑질근절을 위한 내부교육을 확대하고 주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갑질 실

태점검 강화 필요함

개선

의견

- 갑질 실태점검 등 갑질 근절을 위한 다양한 실효적 조치를 발굴하여 적용하여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7  -

4) 재난·안전 관리

■ 평가결과

◯ 재난·안전 관리는 전체 2.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62점을 획득하

여 81.00% 수준의 달성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 재난·안전 체계 구축의 적정성(0.6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51점

을 득점하였고,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직원 대응력 제고(0.6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

급(85.00점)으로 0.51점을 득점하였고, 재난·안전 체계 운영의 적절성(0.8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60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기관의 노력 정도를 평가한다.
Ÿ 「중대재해처벌법」및「지방공공기관 안전보건관리 가이드라인」과제 준수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00점

득점

1.62점

달성수준

81.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재난·안전 체계 구축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60점

2등급

0.51점

②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직원 대응력 제고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60점

2등급

0.51점

③ 재난·안전 체계 운영의 적절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80점

3등급

0.6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재난·안전 체계 구축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안전보건관리계획은  세부추진계획과의  연계성이  미흡하여  기관이  달성하고자 

하는 최종 목적과 목표를 점검하고 기관의 운영환경을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

과 연계하여 안전중심 경영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와 실행계획을 마련할 필

요가 있음

- 사무처장을 총괄책임자로 지정하고 안전관리자, 안전관리부서, 시설물 및 위험

물 담당자 등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투입인력계획을 적정하게 수립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8  -

 ②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직원 대응력 제고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 지휘반,  진압반,  대피유도반,  구조구급반에  포함되는  개인을  지정하고  책임과 

역할을 부여하고자 노력함이 인정됨

- 계획에 따른 예산확보, 신규 안전관리 활동 추진을 위한 예산확보 등 자체적인 

노력에 대한 성과 미흡함

잘된 

사항

-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응급상황 대처, 실종아동 예방 

및 대응 조치 방안 등의 안전교육을 추진함

미흡한 

사항

- 기관의 안전관리 계획과 연계한 안전관련 예산 운영 노력이 요구되며, 신규 안

전관리 활동과 향후 개선활동을 포함한 예산계획의 확인이 어려움

개선

의견

- 기관의 안전관리 계획과 연계한 안전관련 예산 운영 노력이 요구되며, 신규 안

전관리 활동과 향후 개선활동을 포함한 예산계획이 수립되어야 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화북119센터와 합동소방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제주한라대학교 응급의료교육원의 

협조를 통해 응급상황 시 방문객 대상 올바른 대처관리 능력 향상교육과 실종

아동 발생 시 대응방법 등 기관의 사업환경을 고려한 안전교육 추진 성과가 긍

정적임

- 재해·재난 편성표에 따른 대응 조직의 구성(지휘반-진압반-대피유도반-구조구

급반), 개인별 역할 및 책임을 부여하고, 재해·재난 상황별 대응체계를 마련하

는 등 재해·재난 업무 매뉴얼을 구축하고자 노력함

- 전  직원  대상  산업안전보건교육을  1회  실시하였으며,  유관기관  합동  훈련  및 

자체훈련을 각 1회씩 실시함

- 다중이용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재단  특성상  소방서  등  긴급  구조기관에  현장 

지휘권을 인계하기 전까지의 자체적인 중점 대처사항을 체계화하는 노력이 필

요한 바, 위기상황별 매뉴얼을 구축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중대재해예방 및 대응 매뉴얼을 통해 안전사고 상황별 대응 역할과 절차를 마련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79  -

 ③ 재난·안전 체계 운영의 적절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미흡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개선

의견

- 특이사항 없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시설물 안전점검 유지관리계획을 작성하여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유지관리를 추

진하고 있으며 소방, 전기, 승강기 등의 전문관리가 필요한 사항은 전문업체 안

전관리 대행을 통해 유지관리를 실시함

- 안전관리 전담인력은 소방안전관리자, 실내공기질관리자, 전기안전관리자, 보일

러 기기 조정자 교육을 각각 적정하게 실시함

- 위기상황별 매뉴얼을 통한 안전보건 관리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이를 통한 안전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처리 절차를 마련하고자 노력함

- 내부 행사와 캠페인을 통해 내외부 고객에 대한 안전역량을 제고하여야 하며, 

방문객을 위한 안전포스터와 책자제작, 시설 및 프로그램 신청 시 사전안전사

항 숙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운영 등 재난상황 대응력 제고를 위해 안전문화 정

착 활동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음

잘된 

사항

- 위기 상황별 매뉴얼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한 입주단체 및 방문객 동참 안전교

육을 실시한 부분이 긍정적임

미흡한 

사항

- 연간 시설물 점검과 안전보건계획에 따른 추진사항을 바탕으로 연도별 환류과정이 

고도화되어야 함

-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한 사고처리·보상 및 대책 마련을 포함하는 사후처리 프로

세스를 구체화하여야 함

개선

의견

- 안전관리 활동을 추진하면서 도출되는 개선사항 등을 통해 향후 기관의 안전관리 

리스크의 관리와 추진계획을 수정하고 환류하는 노력이 요구됨

-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한 사고처리·보상방안을  검토하여 적용가능한 보상방안

을 탐색하여야 하며, 사고원인 분석, 재난·재해 시설물 재해복구 절차 등 사후 

프로세스를 구체화하여야 함. 사후활동에 대한 조치사항은 별도의 매뉴얼을 마

련하고 기관의 재난대응 매뉴얼에 포함하여 체계화된 문건으로 관리되어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0  -

5) 지역상생 발전

■ 평가결과

◯ 지역상생 발전은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2.70점으로 달성수

준 90.00%로 파악됨

- 지역사회 공헌 및 공익사업 추진 실적(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고, 사회적 약자 관리시스템(1.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85.00

점)으로 0.85점을 득점하였으며 중증장애인 생산품 및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 구매실적(1.00점)

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0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혼합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추진한 지역 내 다

양한 공익적 활동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3.00점

득점

2.70점

달성수준

9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지역사회 공헌 및 공익사업 추진 실적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② 사회적 약자 관리시스템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00점

2등급

0.85점

③ 중증장애인 생산품 및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 구매실적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1.00점

100.00%

1.0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지역사회 공헌 및 공익사업 추진 실적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4.3유족복지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유족 장학사업, 4.3희생자 의료비 지원, 유족

대상 문화프로그램을 추진하였으며, 청소년대상 체험교육과 지역대학 연계사업 

등 문화·교육에 대한 특화 프로그램 운영 노력이 인정됨

- 유족복지, 문화·교육, 지역사회 연계 측면에서 4.3에 대한 공유를 중심으로 사

회공헌 프로그램 전개함이 인정됨

- 제주지역 소기업, 소상공인에 대한 계약 비중을 확대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1  -

 ② 사회적 약자 관리시스템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기여함(37건/620,699천원, 총계약액 대비 35%)

- 4.3 대한 국내외 사료수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4.3특별법 개정에 따른 

추가진상조사, 4. 3트라우마센터 운영 등을 민선8기 도정 정책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고자 노력함이 인정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지역상생을  위한  핵심과제와  구체적인  이행계획  수립-이행점검-성과분석-개선

사항 도출 등 실질적인 점검 및 환류체계 마련이 필요함

-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니즈에 부합될 

수 있도록 간담회, 커뮤니티 등 소통채널의 다양화 필요함

개선

의견

- 기관의 전략체계와 연계하여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주요 실행과제를 발굴하는 

등 관련 성과를 주도적으로 발굴하고 이행하기 위한 실행체계를 구축하여야 함

-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니즈에 부합될 

수 있도록 간담회, 커뮤니티 등을 활용하여 관련성과 발굴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제주4.3평화공원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9조에  따라  제주4.3평화공원 

시설에 대한 사용료를 감면하고 있음(기념관 세미나실, 기념관 대강당, 기념관 

대회의실, 교육센터 다목적강당, 77회, 1,960,000원)

- 취약계층지원 노력으로 저소득층 장학사업(33명 장학금 수여), 생존희생자 위

로사업(유가족 행사 지원), 지역사회연계사업(김장 김치 나눔행사)을 추진함

- 환경미화 기간제 근로자에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및 

고령자에 대한 가점 부여를 통해 조경관리원을 운영하는 등 사회적 약자 고

용 노력이 인정됨

- 이용객에 대한 분석 및 의견수렴을 통해 사회적 약자 지원에 대한 기관의 시

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활동의 다양화, 시설환경의 개선(고령자

를 위한 돋보기의 배치, 안내원 배치, 장애인을 위한 차량 지원 등)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해당성과를 발굴하여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2  -

 ③ 중증장애인 생산품 및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 구매실적

-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비율은 전체 0.5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 우선구매 실적 

기준치(1%) 대비 12.29% 달성으로 0.50점을 득점하였음

목표

구매 총액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실적

득점

1.00%

533,514천원

65,576천원

12.29%

0.50점

- 사회적기업 생산품 구매비율은 전체 0.5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 우선구매 실적 

기준치(1%) 대비 7.07% 달성으로 0.50점을 득점하였음

목표

구매 총액

사회적기업 생산품 구매실적

득점

1.00%

533,514천원

37,699천원

7.07%

0.50점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잘된 

사항

- 환경미화 기간제 근로자에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및 

고령자에 대한 가점 부여를 통해 조경관리원을 운영하는 등 사회적 약자 고

용 노력이 인정됨

미흡한 

사항

- 기관 시설 이용객에 대한 분석 및 의견수렴을 통해 지원 활동의 다양화, 시설

환경의 개선 등 환류 활동 반영 노력이 다소 미흡함

개선

의견

- 이용객에 대한 분석 및 의견수렴을 통해 사회적 약자 지원에 대한 기관의 시

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활동의 다양화, 시설환경의 개선 등 반

영이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3  -

6)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

■ 평가결과

◯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는 기관의 경우 상시근로자 수가 50인 이상 기관으로 감점지표로 

구성되며, 기관의 평가결과 감점 –1.00점이 발생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장애인으로  의무적으로  채용했

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가감점)

득점

-1.00점

달성수준

-

■ 세부 평가내용

  ① 장애인 의무고용제 준수

- 기관의 경우 상시 근로자 수 50인 이상 기관으로 감점 1.00점 지표로 구성되며, 고용의무인원 기준 

2명 대비, 장애인 1명을 고용한 것으로 확인되어 –1.00점이 발생함

상시 근로자 수 50인 이상 기관

감점 1.00점

상시 근로자 수 50인 미만 기관

가점 1.00점

구분

평균 상시근로자 수(A)

고용의무인원

(A*3.6%)

장애인 수

득점

실적

60.75명

2명

(소수점 절사)

1명

-1.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4  -

7) 친환경 경영

■ 평가결과

◯ 친환경 경영은 전체 0.3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23점으로 달성수준 

76.67%로 파악됨

- 플라스틱 줄이기 실천노력(0.3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3등급(75.00점)으로 0.23점을 득점

하였고, 탄소중립정책 이행 및 노력(가점 0.3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 가점이 발생하지 않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혼합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2040 플라스틱 제로 섬 제주(2040PZI)」 실현을 위한 각 기관의 노력도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0.30점

득점

0.23점

달성수준

76.67%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플라스틱 줄이기 실천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30점

3등급

0.23점

② 탄소중립정책 이행 및 노력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가점 최대 0.30점)

-

0.00점

(가점 미발생)

■ 세부 평가내용

 ① 플라스틱 줄이기 실천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2030 쓰레기 걱정 없는 자원순환 제주(WFI)’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재

단 및 입주단체 임직원 개인컵과 텀블러 사용 권장과 SNS 참여 홍보 등을 이

행하고자 노력함

- 방문객의 증가로 1회용품 플라스틱을 비롯한 쓰레기가 증가함에 따라 SNS와 

홈페이지, 포스터, 배너를 통해 개인컵, 텀블러 사용을 독려하고 임직원 대상 

공유 노력이 인정됨

- 재난 사무처 내 종이컵 사용을 금지하고 개인 머그컵,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

였으며 4.3평화기념관 내 입주한 4.3관련단체(4.3유족회, 4.3연구소)에 대한 다

회용품 사용 독려 노력이 인정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5  -

 ② 탄소중립정책 이행 및 노력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기관의  사업환경에서  적용가능한  플라스틱  제로화  활동이  다소  일반적인  수

준으로 운영 중인 상황으로 지속적인 기관 내 다회용품, 플라스틱 사용 절감

을 위한 방안 모색이 다소 미흡함 

개선

의견

- 사업환경에서  적용가능한  플라스틱  제로화  노력을  다양화하여야  하며,  기관 

내 다회용품, 플라스틱 사용 절감에 대한 성과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추진목표를 준비할 필요가 있음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탄소중립 정책 이행을 위해 관용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하였으며, 태양

광  발전  설비  운영으로  제주4.3평화기념관과  제주4.3평화교육센터에  대한  전

기에너지를 절감하고자 노력함 

- 여름철, 겨울철 실내온도 적정기준 유지로 공공기관 에너지 절감운동에 동참

하고자 노력함

- 에너지 효율화 사업 컨설팅을 통해 탄소중립 및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

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함이 인정됨

잘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미흡한 

사항

- 특이사항 없음

개선

의견

- 기관을  중심으로  고객과  지역사회의  참여가  가능한  탄소중립  노력이  다양화

될 필요가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6  -

8)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

■ 평가결과

◯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준수는 전체 0.4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20점

으로 달성수준 50.00%로 파악됨

-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기준에 따른 공시항목, 자료입력기한 준수여부(0.20점)에 대한 기관의 평

가결과는 0.2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고, ESG 경영선도 관련 통합공시 기준 개정사항 

준수여부(0.2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00점으로 0.00%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지방출자·출연법」  제32조 개별공시 및 제33조 통합공시 기준에 따른 공

시여부를 평가한다.

Ÿ 「지방출자출연기관 통합공시 기준」의 준수여부를 평가한다.
Ÿ ESG 관련 항목의 지속적 관리를 위하여 기관자체 경영공시 추진현황을 평가

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0.40점

득점

0.20점

달성수준

5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기준에 따른 공시항목, 자료입력기한 준수여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0.20점

100.00%

0.20점

② ESG 경영선도 관련 통합공시 기준 개정사항 준수여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0.20점

0.00%

0.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7  -

9) 정보보안 관리·운영의 적정성

■ 평가결과

◯ 정보보안 관리·운영의 적정성은 전체 0.3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0.30점으로 달성수준 100.00%로 파악됨

- 정보보안 관리·운영의 적정성(0.3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0.30점으로 100.00% 실적을 

기록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단계별 평가

평가정의

Ÿ 기관이 소유, 생성하는 공공정보의 운영 및 관리가 적정한지 정보보안, 데

이터관리, 정보보안 개선 노력 성과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0.30점

득점

0.30점

달성수준

10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내규 제정 및 담당자 지정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0.10점

100.00%

0.10점

② PC보안 추진 여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0.10점

100.00%

0.10점

③ 정보보안 교육 실시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0.10점

100.00%

0.1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8  -

6

  경영성과

6-1  영역 평가결과 종합

■ 경영성과 영역 평가결과

◯ 경영성과 영역은 전체 46.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 39.34점으로 나타남

◯ 경영성과 영역은 비계량 평가지표 11.00점, 계량평가지표 35.00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계량 

평가결과 10.28점(93.45% 달성), 계량평가 29.06점(83.03% 달성)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및 세부 착안사항

평가방법

가중치

등급

평점

득점

Ⅱ. 경영성과

-

46.00점

-

-

39.34점

Ⅱ-1. 고객만족

5.00점

-

-

4.64점

1.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5.00점

-

-

4.64점

1-1. 당해연도 고객만족도 실적 평가

계량평가

3.00점

-

-

2.64점

1-2. 전년 대비 개선도 실적 평가

계량평가

2.00점

-

-

2.00점

Ⅱ-2. 사업성과 적절성

41.00점

-

-

34.70점

1. 기관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

3.00점

-

-

2.68점

1-1.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계획수립의 타당성 비계량평가

1.20점

1등급 95.00점 1.14점

1-2. 사업수행노력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0.90점

2등급 85.00점 0.77점

1-3. 사업환류활동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0.90점

2등급 85.00점 0.77점

2.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 및 도전성

8.00점

-

-

7.60점

2-1.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

비계량평가

4.00점

1등급 95.00점 3.80점

2-2. 핵심과제 목표의 도전성

비계량평가

4.00점

1등급 95.00점 3.80점

3. 4·3 추가진상 조사 및 연구 강화

3.00점

-

-

2.50점

3-1.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

계량평가

3.00점

-

-

2.50점

4. 4·3 희생자, 유족 권익 신장 및 명예 회복

3.00점

-

-

2.70점

4-1. 4·3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

계량평가

3.00점

-

-

2.70점

5. 4·3의 전국화·세계화

24.00점

-

-

19.22점

5-1.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계량평가

8.00점

-

-

6.30점

5-2.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계량평가

8.00점

-

-

6.25점

5-3.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

계량평가

8.00점

-

-

6.67점

합계

-

46.00점

-

-

39.34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89  -

6-2  고객만족 세부 평가결과

1)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평가결과

◯ 고객만족도  조사는  전체  5.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4.64점으로 

92.80%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기관의 당해연도 외부고객 만족도와 전년 대비 개선도를 조사하여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5.00점

득점

4.64점

달성수준

92.8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당해연도 고객만족도 실적 평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3.00점

88.06%

2.64점

 ② 전년 대비 개선도 평가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2.00점

104.04%

2.0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0  -

6-3  사업성과 적절성 세부 평가결과

1) 기관 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

■ 평가결과

◯ 기관사업계획 및 추진의 적절성은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2.68점으로 89.33%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계획의 타당성(1.2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등급(95.00점)

으로 1.14점을 득점하였고, 사업 수행노력의 적정성(0.9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등급

(85.00점)으로 0.77점을 득점하였으며, 사업 환류활동의 적정성(0.9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

는 2등급(85.00점)으로 0.77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당해기관의  대외적  환경  변화를  반영한  사업에  대한  계획수립,  수행관리, 

환류체계가 적정한지를 평가한다.

Ÿ 신규사업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사업  개선에  대한  목표달성을  촉진하는 

제도의 적절성 및 달성 정도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3.00점

득점

2.68점

달성수준

89.33%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계획의 타당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1.20점

1등급

1.14점

② 사업 수행노력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90점

2등급

0.77점

③ 사업 환류활동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0.90점

2등급

0.77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1  -

■ 세부 평가내용

 ①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계획의 타당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2023년에  설정된  제주4·3평화재단  비전·전략목표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 ‘4·3의 정의로운 해결’이라는 미션과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 선

도’라는 비전을 수립하고, 핵심가치로 인권, 정의, 평화, 화해를 위한 4대 목표

(희생자·유족 명예회복, 진실규명, 전국화·세계화, 세대전승)를 수립하고 있음

- 해당  비전·전략목표에  따라  모든  사업들의  계획을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으나, 계획에 따른 전략과제 등은 실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추진함

- 대외  환경변화  및  트렌드에  따른  신규  콘텐츠,  프로그램을  발굴하고자  하는 

노력은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 기존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재구

조화를 이행한 성과가 있음

- 경영목표인 4·3의 전국화·세계화·미래화, 트라우마센터 국립화, ESG 경영 

강화 등의 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나, 4·3 진상조사 관련 사업 종료에 따라 지

원사업 및 복지사업 등에 대한 계획을 재수립하고, 중장기 측면에서 사업 대

상의  변화  및  구분을  통한  사업변화  및  계획  조정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또한, 4·3연구자 육성, 진상조사, 홍보공유를 통한 도민역량강화, 세대전승 측

면에서 사업의 다양화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탄력적인 사업 

운영(예산 및 협업)을 통해 기관의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한 것으로 평가됨

잘된 

사항

- 트라우마센터 프로그램 다양화(찾아가는 읍면동 프로그램 추진), 수료율이 저

조한 5개 지역 대상 전국교육 직무연수 추진, 성과관리체계 구축 및 관련 평

가내규 개정, 외부고객만족도 전년 대비 0.2점 상승, 제1회 4‧3영화제 개최(서

울 지역 등 21편 상영), 미래세대를 위한 4.3교육 모바일애플리케이션 6개 버

전 개발 등의 노력을 통해 해당 기관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계획 

및 실행을 추진한 것으로 평가함

미흡한 

사항

- 사업계획 및 이행은 적정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은 인력 규모로 관

련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어 적정 수준의 업무 분장을 위한 인력 운영 수준의 

적정성 모색이 필요함

개선

의견

- 적정인력분석을 통해 사업추진 및 성과 달성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2  -

 ② 사업 수행노력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비전 및 전략목

표의 재설정을 통해 명예회복을 위한 4‧3 진상규명 및 연구기반 강화 목표설정, 

평화공동체 회복을 위한 트라우마센터 활성화 목표설정 등의 노력을 추진함

- 2023년 주요역점사업인 4‧3추가진상조사의 경우 코로나19 전염병으로 인한 조

사  수행  시기  차질로  조사기간  연장(6개월)을  통한  사업  충실성을  확보하고 

운영  불가능  사업에  대한  대체사업  발굴로  기관의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을 

추진한 것으로 보임

- 또한,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조직‧인력‧예산의 적절한 배분으로 4‧3추가진

상조사 추진, 트라우마센터 시범운영, 중장기 인력운영계획 수립 등이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의 주요 사업이 비정규직 채용 인력을 중심으로 추

진되고 있는 상황으로 사업의 연속성,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정규직 중심의 주

요 사업 운영이 추진될 수 있는 환경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소규모 인력의 한계로 임직원 개인이 사업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한 노력

과 열정은 인정이 되나, 임직원의 노력이 어떠한 사업수행 활동으로 이어졌는

지에 대한 보다 충실한 설명이 담보될 필요가 있음

- 기관이 처한 환경의 구체적 제시와 장애극복 노력 추진에 대한 사업별 추진

성과가 보다 자세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사업 추진 결과에 따라 전

략과제별 실행력이 어느 수준으로 고도화되었는지에 대한 성과 제시가 요구됨

- 기관에서 제시한 내용만으로는 경영환경 변화 및 문제 발생에 따라 대응 수

준이 적정하였는지, 대응 활동에 대한 성과가 창출되었는지 등에 대해 판단하

기에는 매우 어려운 수준임 

- 경영환경 변화 및 문제 발생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추진하기 위해 소규모 인

력이 매우 많은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점은 인정되나, 기관의 비전(경영목표)

과 연계한 사업 수행이 어느 수준으로 이행되었는지에 대해 실질적인 성과 제

시가 필요함

잘된 

사항

- 민선 8기 도민 도정 정책과제와 연계된 2023년 제주4‧3평화재단 비전 및 전략

목표가 아래와 같이 명확하게 설정되었음

  ① 명예회복을 위한 4‧3진상 규명 및 연구기반 강화 목표 설정

  ② 평화공동체 회복을 위한 트라우마센터 활성화 목표 설정

- 재단 운영 및 사업별 추진과정에서 제반 규정의 미비로 인한 문제에 대해 해

당 규정의 제‧개정을 통하여 원활하게 추진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3  -

 ③ 사업 환류활동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미흡한 

사항

- 기관이 처한 환경의 구체적 제시와 장애극복 노력 추진에 대한 사업별 추진

성과가 매우 포괄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전략체계와 연계한 사업수행 운영 수

준 및 창출 성과에 대한 파악이 곤란함

- 소규모 인력 운영 기관으로 시간외수당 및 휴일근무수당 등의 축소로 인하여 

사업들을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의  업무동기부여가  많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

고 판단됨

개선

의견

- 사업추진 결과에 따라 전략과제별 실행력이 어느 수준으로 고도화되었는지에 

대한 성과 제시가 요구됨

- 직원들의  업무동기부여와  사기진작을  위해  도와의  협의를  통해  직원복지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사업의 연속성 확보, 단계적 확대 및 강화를  위해 사업 환류 활동은 반드시 

요구됨

- 다만, 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성과 평가 및 환류 활동은 주요사업별 예

산  심의  등에  필요한  이사회  개최,  예산집행  현황  모니터링,  주요사업  추진 

상황에 대한 일부 개선점 발굴(만족도 조사를 통한 환류 활동 추진) 등에 한

정되어 있음

- 전년도 추진사업에 대한 자체평가 및 외부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년도 사

업계획수립과 성과환류를 할 수 있는 내부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사

업추진성과에  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체계(전략  및  실행과제에  대한  KPI  설정, 

부서평가 연계 등)의 작동을 통해 추진사업의 성과의 구체화가 요구됨

- 신규 사업을 구상하고 계획함에 있어서 글로벌, 국가, 지역 차원에서 요구되

는 다양한 사항들 및 의견들이 수렴되고 있는 점은 사업계획 수립에 있어서

는 적정하다고 판단되나, 추진 중인 사업의 안정화 및 고도화를 위해 관련 환

류 활동의 충실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음

- 대부분의 사업 환류 활동이 예산집행 수준 모니터링 및 사업 수혜자 대상 만

족도 조사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의 실질적 성과 분석을 추진하는 

환류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길 바람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4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잘된 

사항

- 연  2회  재단  현황자료  보완을  통해  주요  사업별  실행계획에  따른  추진상황 

및 향후 계획의 점검, 기타 사업 만족도 조사를 통한 사업 개선 노력이 있음

미흡한 

사항

- 전년도 추진사업에 대한 자체평가 및 외부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년도 사

업계획수립과 성과환류를 할 수 있는 내부시스템이 부재함

개선

의견

- 평가년도  사업계획수립과  성과환류를  할  수  있는  내부시스템이  마련될  필요

가 있으며, 사업추진성과에 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체계(전략 및 실행과제에 대

한 KPI 설정, 부서평가 연계 등) 운영을 통한 추진사업의 성과 구체화가 추진

되어야 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5  -

2) 핵심과제 적정성 및 도전성

■ 평가결과

◯ 핵심과제 적정성 및 도전성은 전체 8.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7.60점

으로 95.00%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4.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등급(95.00점)으로 3.80점을 득점하

였고, 핵심과제 목표의 도전성(4.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1등급(95.00점)으로 3.80점을 

득점하였음

평가방법

지표특성

비계량평가

산출방법

절대평가

평가정의

Ÿ 당해기관의  핵심사업(경영평가  사업지표)  선정  및  목표  설정이  적정한지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8.00점

득점

7.60점

달성수준

95.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4.00점

1등급

3.80점

② 핵심과제 목표의 도전성

평가방법

배점

등급

득점

비계량평가

4.00점

1등급

3.8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핵심과제 선정의 적정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핵심과제  선정  수준  검토결과  전략체계와  연계하여  4·3  추가진상  조사  및 

연구 강화, 4·3희생자, 유족 권익 신장, 4·3세계화 등으로 적정 마련이 되어 

있음

- 4‧3특별법  및  기관  정관의  목적과  고유목적  사업을  반영한  핵심과제  설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희생자·유족  명예회복  사업을  추진하고,  정의 

구현을  위하여  진실규명  사업을  추진하며,  평화의  확산을  위하여  전국

화·세계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4·3 평화재단의 존립 이유와 정확하게 

부합하는 핵심과제들이 선정되었다고 평가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6  -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잘된 

사항

- 민선 8기 도정 과제인 ‘도민 모두를 위한 4‧3 명예회복 추진’,‘4‧3의 정의

로운  해결을  위한  진상규명과  정명  완성’,‘4‧3의  전국화‧세계화‧미래화  추

진’과 연계된 핵심과제를 선정함으로써 4‧3의 해결과 道  정책성과 제고에 기

여하였음

- 2023년 재단의 비전‧목표 및 주요 역점사업 추진체계에 설정된 과제를 핵심과

제로 선정함으로써 평가의 정당성을 확보하였음

전략목표

전략과제

주요 역점사업 

추진체계

핵심과제

4·3 추가 진상조사 

및 연구 기반 강화

4‧3 연구 기반 강화

4‧3  학술연구  공모
(논문 및 출판지원)

4‧3  연구지원  성과물
의 우수성

추모와 유족 위무

4‧3 트라우마센터 

활성화 및 국립화 

추진

-  치유‧재활  프로그
램  운영(정신적  치
유, 신체적 치유)
-  사회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운영

4·3  트라우마센터 
심리  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실

4·3의 가치 전승

미래지향적인 
교육사업추진

4‧3 문화교육사업추진

-  시민  4·3  아카데
미  참여자  만족도조
사 실적
-  4·3의  전국화‧세
계화를 위한 지역 사
회 연계 활동 성과

홍보 강화

공원‧기념관  어린이
체험관 방문객 확대

온라인 추모관 운영

4·3  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 핵심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인력의 운용이 제주대학교 LINC 사업단을 통해 채

용된 체험형 인턴십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은 4·3 과 관련된 미래인력 양성

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아주 훌륭하다고 판단됨

미흡한 

사항

- 비전·전략목표에서 미션은 4·3의 정의로운 해결, 비전은 평화와 인권, 화해

와 상생의 가치 선도로 각각 설정되어 있는데, ‘화해’를 위한 핵심사업 마

련이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됨

- 해당  내용에서는  ‘화해=세대전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대  전승만으로 

화해가 달성되지 않음

개선

의견

- 진정한 의미의 화해를 위해, 다음 세대만을 위한 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 

사업이 아니라 화해가 가장 필요한 서로 다른 생각을 지닌 주체들을 위한 사

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7  -

 ② 핵심과제 목표의 도전성

평가 

항목

세부평가 내용

지표

총평

- 핵심과제들의 목표의 도전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난이도를 유지하고 있음

- 5개의 핵심과제 평가방법이 난이도가 높은 목표부여 평가방식을 운영하고 있

고,  4개  지표가  성과지표,  1개  지표가  산출지표로  구성되는  등  지표의  속성 

또한 고도화된 수준임

- 4·3을 중심으로 희생자들과 유족의 상처를 치유하고, 그와 같은 역사적 사건

의 올바른 의의를 탐색하기 위한 학술연구를 수행하며, 동시에 그와 같은 비

극이 지니는 의미를 국내외적으로 공유하는 것과 같은 입체적인 차원의 목표

들이 모두 핵심과제들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는 점은 핵심과제들의 목표의 도

전성은 탁월하다고 할 수 있음

잘된 

사항

- 4‧3 추가 진상조사 및 연구강화의 결과 우수한 4‧3 연구 성과물들이 산출되었음

- 4‧3 희생자 유족 권익 신장 및 명예 회복을 통하여 4‧3 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이 우수함

- 4‧3의 전국화·세계화를 통하여 4‧3 희생자 온라인참배 실적, 시민 4‧3 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지역사회 연계 활동 성과가 모두 우수하게 나타남

- 국내에서의 다양한 사업들은 이제 정상궤도에 올라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잘된 사항임

- 국외의  다양한  기관들과의  공동사업  추진  및  평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국외와도 4·3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 또한 잘된 사항임 

미흡한 

사항

- 국내·외 평화교류 사업 중 제주4·3평화상은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 단지, 노벨평화상을 벤치마킹하여 세계의 평화에 기여한 사람을 찾아 상을 수

여함과 동시에 상금 미화 5만 불을 지급하고 있는데, 해당 사업이 제주 4·3

에 대한 인식공유를 위해 과연 필수적인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음

개선

의견

- 제주4·3평화상을 향후 계속 유지해나갈 필요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함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8  -

3) 4·3추가진상조사  및  연구  강화

■ 평가결과

◯ 4·3추가진상조사 및 연구 강화는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2.50점으로 83.33%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3.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2.50점으로 83.33% 수준의 

달성도인 것으로 확인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4‧3추가진상조사 및 4‧3 평화 정신의 확산과 전승을 위하여 관련 연구자들

을 대상으로 하는 학술연구 지원이 국내 및 해외 학계 및 관련 연구기관에 
전파된 실적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3.00점

득점

2.50점

달성수준

83.33%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3.00점

83.33%

2.5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

- 4·3연구 지원 성과물의 우수성은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달성도 

83.33%로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100.00%를 반영하여 2.50점을 득점하였음

구분

2020년 실적

2021년 실적

2022년 실적

3개년 최고치

2023년 실적

실적

4건

2건

5건

5건

5건

기준치(t)

최고목표(t*110%)

최저목표(t*50%)

달성도

5건

5.5건

2.5건

83.33%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배점

가중치 적용 배점

득점

1등급(100.00%)

3.00점

3.00점

2.5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99  -

4) 4·3희생자·유족 권익신장 및 명예회복

■ 평가결과

◯ 4·3희생자·유족 권익신장 및 명예회복은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

결과는 2.70점으로 90.00%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4·3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3.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

결과는 2.70점으로 137.39% 수준의 달성도인 것으로 확인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4‧3생존희생자와 유족 및 국가사업 피해자들(강정마을 주민 등)의 트라우마 

치유를 위해 4‧3트라우마센터에서 진행된 심리상담 건수 중 전문의 상담으
로 연계된 상담 실적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3.00점

득점

2.70점

달성수준

90.00%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4·3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3.00점

137.39%

2.70점

 

■ 세부 평가내용

 ① 4·3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

- 4·3트라우마센터 심리상담을 통해 연계된 전문의 상담 지원 실적은 전체 3.00점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달성도 137.39%로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90.00%를 반영하여 2.70점을 득

점하였음

구분

2020년 실적

2021년 실적

2022년 실적

3개년 최고치

2023년 실적

실적(명)

35

30

37

37

49

기준치(t)

최고목표(t*110%)

최저목표(t*50%)

달성도

37

40.70

18.50

137.39%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배점

가중치 적용 배점

득점

3등급(90.00%)

3.00점

2.70점

2.70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00  -

5) 4·3의 전국화·세계화

■ 평가결과

◯ 4·3의 전국화·세계화는 전체 24.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19.22점

으로 80.08% 수준의 달성수준으로 파악됨

-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8.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6.30점으로 78.75% 수준의 달성

도인 것으로 확인되고,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8.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

결과는 6.25점으로 78.12% 수준의 달성도인 것으로 확인되며, 4·3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지

역사회 연계활동 성과(8.00점)에 대한 기관의 평가결과는 6.67점으로 83.33% 수준의 달성도인 것

으로 확인됨

평가방법

지표특성

계량평가

산출방법

목표부여

평가정의

Ÿ 4‧3희생자를 위령하고 4‧3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해 개설한 4‧3평화공원(4‧3평

화재단)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온라인 참배를 진행한 실적을 평가한다.

Ÿ 제주4‧3의 의미를 되새기고, 4‧3의 현안과 과제를 제주도민들과 공유, 4․3의 대

중화를 위한 시민4.3아카데미 전체 수강생들의 교육만족도 성과를 평가한다.

Ÿ 공공기관 및 지역사회와의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 지원 활동을 통해 4·3의 

전국화·세계화에 기여한 성과를 평가한다. 

평가결과

가중치

24.00점

득점

19.22점

달성수준

80.08%

착안사항별 

평가결과

①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8.00점

78.75%

6.30점

②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8.00점

78.12%

6.25점

③ 4·3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

평가방법

배점

달성도

득점

계량평가

8.00점

83.33%

6.67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101  -

■ 세부 평가내용

 ①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

- 4·3희생자 온라인 참배 실적은 전체 8.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달성도 

78.75%로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100.00%를 반영하여 6.30점을 득점하였음

구분

2020년 실적

2021년 실적

2022년 실적

3개년 최고치

2023년 실적

실적(개)

810

230

872

872

848

기준치(t)

최고목표(t*110%)

최저목표(t*50%)

달성도

872

959.2

436.0

78.75%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배점

가중치 적용 배점

득점

1등급(100.00%)

8.00점

8.00점

6.30점

 ②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

- 시민4·3아카데미 참여자 만족도 조사 실적은 전체 8.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달성도 78.12%로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100.00%를 반영하여 6.25점을 득점하였음

구분

2020년 실적

2021년 실적

2022년 실적

3개년 최고치

2023년 실적

실적(%)

72.60

62.80

86.00

86.00

83.31

기준치(t)

최고목표(t*110%)

최저목표(t*50%)

달성도

86.00

94.60

43.00

78.12%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배점

가중치 적용 배점

득점

1등급(100.00%)

8.00점

8.00점

6.25점

 ③ 4·3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

- 4·3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활동 성과는 전체 8.00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평가결과는 달성도 83.33%로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100.00%를 반영하여 6.67점을 득점하였음

구분

2020년 실적

2021년 실적

2022년 실적

3개년 최고치

2023년 실적

실적(건)

9

9

13

13

13

기준치(t)

최고목표(t*110%)

최저목표(t*50%)

달성도

13

14.3

6.5

83.33%

적정성, 도전성 가중치

배점

가중치 적용 배점

득점

1등급(100.00%)

8.00점

8.00점

6.67점

/data/hom/data/webapp/proj/preview/173153616903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