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문화예술언론의 노력

4·3예술은 제주4·3 사건이 진행되던 시기에도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4·3을 다룬 시·소설·희곡 등이 창작되었고, 관련 노래도 불리어졌으며, 연극 공연도 있었다.

아직 4·3 담론이 금기의 영역에 묶여 있던 시기에 문학을 비롯한 예술에서는 학술논문이나 언론은 물론 여타 사회운동 세력에 앞서 4·3의 진실을 향한 활동을 착실히 전개해 나갔다. 물론 거기에는 수많은 탄압이 있었지만, 진실을 향한 예술 활동은 멈추지 않았다.

4·3교육은 대학가, 시민사회단체와 학계, 정치권 중심의 진상규명 운동 등 격동기를 거친 후에 점진적으로 전개되었으며, 공교육 차원의 4·3교육 이전에는 개인들의 ‘나홀로 4·3 탐색기’라 할 수 있다. 1987년 6월 항쟁과 함께 대학가에서 4·3 운동의 발동을 걸었고 차츰 시민사회단체, 제주도의회와 국회 등 정치권으로 확산됐다. 특히 교원들 개인의 4·3탐색 작업은 4·3교육의 동기 부여, 저변 확대에 일조했다.

  • 제주4·3 70년 / 어둠에서 빛으로4·3예술 활동의 수난과 성과

    다운로드
  • 제주4·3 70년 / 어둠에서 빛으로4·3교육의 자리매김 과정

    다운로드